방송대, 항암 성분 10배 ‘슈퍼쌀’ 사업화

방송대, 항암 성분 10배 ‘슈퍼쌀’ 사업화

입력 2014-03-06 00:00
업데이트 2014-03-06 00: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산학협력단, 이롬·새싹과 업무협약

한국방송통신대 산학협력단이 류수노 농학과 교수가 개발한 기능성 쌀 ‘슈퍼자미’와 ‘슈퍼홍미’의 사업화를 추진한다고 5일 밝혔다. 산학협력단은 서울 종로구 동숭동 방송대에서 식품회사 ㈜이롬, ㈜새싹과 기술 이전 계약 및 업무 협약을 맺었다.
이미지 확대
기능성 쌀 기술 이전 계약 및 업무협약을 맺은 방송대와 기업. 왼쪽부터 홍성길 이롬 생명과학연구원장, 류수노 방송대 농학과 교수, 안병국 방송대 산학협력단장, 김해경 새싹 대표. 한국방송통신대 제공
기능성 쌀 기술 이전 계약 및 업무협약을 맺은 방송대와 기업. 왼쪽부터 홍성길 이롬 생명과학연구원장, 류수노 방송대 농학과 교수, 안병국 방송대 산학협력단장, 김해경 새싹 대표.
한국방송통신대 제공


‘슈퍼자미’는 류 교수가 13년 동안 농림축산식품부, 서울시, 농촌진흥청에서 연구비 52억원을 지원받아 개발에 성공한 기능성 품종이다. 기능성 물질인 C3G 성분이 지금까지 육성된 쌀보다 10배 이상 높아 항산화, 항염, 항암, 항아토피, 항당뇨 등 심혈 관계 질병 예방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 품종 출원 중인 ‘슈퍼홍미’는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을 활성화하는 효능이 있다. 기술을 이전받은 ㈜이롬과 ㈜새싹은 새 품종을 통한 수익을 올해 3600만원, 2015년 3억여원, 2016년 20억여원으로 기대했다. 산학협력단은 기술 이전 활성화를 위한 제도 정비와 기술 도입 업체 추가 발굴에 나설 계획이다.

류 교수는 “국민 1인당 쌀 소비는 줄고 있지만 기능성 쌀 시장은 크게 성장할 것”이라면서 “이번 협약이 만성 대사성 질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높은 두 품종을 더 널리 생산, 보급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4-03-06 1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