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주단속 줄었던 6월 고속도로 사고 사망자 증가

음주단속 줄었던 6월 고속도로 사고 사망자 증가

입력 2015-07-23 07:25
업데이트 2015-07-23 11: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메르스 여파 단속 38% 줄어…상반기 전체 사망자는 작년보다 12% 감소

올 상반기 고속도로에서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작년 동기 대비 줄었으나 6월에만 증가했다.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감염 우려에 따른 음주단속 자제 여파라는 게 경찰의 분석이다.

23일 경찰청에 따르면 올 상반기 고속도로에서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1천826건으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14.1%(225건) 늘었다.

그러나 사망자 수는 109명으로 1년 전보다 12.1%(15명) 감소했다. 부상자는 1년 사이 17.4%(653명) 늘어난 4천397명으로 집계됐다.

월별 사망자 수는 1월 16명, 2월 16명, 3월 20명, 4월 15명, 5월 17명, 6월 25명이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올 6월만 사망자 수가 38.9% 증가하고 나머지 달에는 감소했다.

경찰청 관계자는 “메르스 감염 우려에 따른 선별적 음주단속의 영향 등으로 사망 사고가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6월 음주단속 건수는 266건으로 1년 전보다 38.3%(165건) 줄었다.

사망 사고 원인을 보면 대부분 원인불명(56.0%)이었고, 전조등 현혹 등 환경적 요인(30.3%)과 판단 착오 등 심리적 영향(7.3%)이 많은 편이었다.

전방 주시태만과 졸음운전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지난해와 비교해 각각 95.6%, 90.9%나 급감했다.

사망 사고 중에는 차량 밖의 경찰관이나 운전자를 충격한 사고(13.8%)와 앞선 차량의 뒷부분을 추돌한 사고(11.9%)도 적지 않았다.

차종별로 보면 화물차 사망사고가 46.8%로 가장 많고, 승용차(41.3%), 승합차(8.3%) 순이었다.

화물차가 전체 자동차 등록 대수의 16.7%인 점을 감안하면 사망 사고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한 셈이다.

교통사고 발생건수 대비 사망자수인 치사율 역시 화물차가 12.2%로 가장 높았다. 승합차는 7.2%, 승용차는 3.8%였다.

노선별로 보면 경부선(21.1%)과 중북내륙선(18.9%)에서 사망자 수가 많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