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나영이 아빠 편지 공개’ 신의진, 먼저 전화걸어 어려움 호소

[단독] ‘나영이 아빠 편지 공개’ 신의진, 먼저 전화걸어 어려움 호소

박성국 기자
박성국 기자
입력 2016-02-23 16:42
업데이트 2016-02-23 16: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의진 의원 페이스북
신의진 의원 페이스북
4·13 총선 홍보물에 아동성폭행 피해자 ‘나영이’(가명)를 거론해 여론의 뭇매를 맞은 신의진 새누리당 의원이 나영이 아버지의 편지까지 공개하며 해명에 나선 가운데, 신 의원이 먼저 피해자 아버지에게 전화를 걸어 자신이 처한 상황을 설명한 것으로 파악됐다.
 
 앞서 서울 양천갑 예비후보로 등록한 신 의원은 목동 선거사무실 건물에 ‘나영이 주치의’ ‘새누리당 대변인’ ‘아이심리백과 저자’ 등 이력을 담은 홍보 현수막을 내걸었다.
 
 이른바 ‘나영이 사건’으로 알려졌던 이 사건은 2008년 12월 당시 56세인 조두순(구속)이 경기 안산시 단원구의 한 교회 화장실에서 8세 여아를 강간, 아동의 신체를 심각히 손상한 사건이다. 이 사건은 사건명이 어떤 식으로든 피해 아동에게 또 다른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여론이 고조되며 이후 ‘조두순 사건’으로 명명됐다.
 
 그러나 지난 22일 피해 아동의 주치의였던 신 의원이 비록 가명이지만 ‘나영이’라는 상징적인 이름을 선거 홍보전에 다시 들고 나온 것은 부적절하다는 비판이 이어졌다.
 
 이에 신 의원은 이날 오후 7시 10분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제가 생각이 짧았다. 현수막은 조치했다”면서도 “나영이 아버님께서 ‘나영이’라는 이름이 희망의 이름으로 사용되기를 바라셨다. 저 역시 극복된 상처는 많은 사람에게 희망과 용기를 줄 수 있다고 판단했다”고 해명했다.
 
 이어 “이번 상황을 안타깝게 지켜보시던 나영이 아버님께서 손수 편지를 보내주셨다”면서 나영이 아버지의 친필 편지를 공개했다. 해당 편지는 신 의원 논란이 이날 오후 3시를 전후로 보도되기 시작한 가운데 당일 작성됐고, 신 의원은 이를 오후 7시 10분에 공개했다. 편지에는 피해자 아버지의 서명까지 담겼다.
 
 편지에서 나영이 아버지는 “나영이는 어린시절 끔찍한 사건을 겪었으나 신의진 교수님의 지극한 치료와 관심으로 지금은 평범한 여고생으로 열심히 공부하며 잘 지내고 있다”며 “성폭력을 당한 아이들도 충분한 치료와 보살핌을 받으면 잘 지낼 수 있다는 희망을 주기 위해 ‘나영이 주치의’로 알리는 것도 좋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이어 “성폭력을 당했다는 사실을 꼭 숨길 이유가 없다”며 “나영이는 치료받으면 극복할 수 있다는 희망의 이름이다. 성폭력 피해 어린이를 위해 최선을 다하는 신의진 의원님께 감사하다”고 했다. “저는 신의진 의원님 개소식에도 갔다”는 말도 덧붙였다.
 

논란이 일었던 신의진 의원 홍보 현수막. 신 의원실은 22일 오후 현수막 내용을 수정했다.
논란이 일었던 신의진 의원 홍보 현수막. 신 의원실은 22일 오후 현수막 내용을 수정했다.

 하지만 이번 편지는 현수막 논란이 보도된 이후 신 의원이 먼저 피해자 아버지에게 전화를 걸면서 작성된 것으로 전해졌다.
 
 피해자 아버지 송모씨는 23일 서울신문과의 전화통화에서 “의원님이 아이는 어떠냐고 한 달에 한 번 정도 전화해서 (아이 상태를) 체크도 하신다. (어제도) 마침 전화가 왔는데 그런 말씀을 하시기에 ‘네, 알았습니다’하고 써서 보냈다”라고 밝혔다. 송씨는 신 의원의 전화를 받고 편지를 직접 작성, 해당 편지를 사진으로 찍어 신 의원에게 전송했다고 설명했다.
 
 서울신문은 신 의원의 해명을 듣기 위해 연락을 시도했으나 국회 본회의 참석으로 닿지 않았다. 신 의원실 관계자는 “누가 먼저 전화했는지는 잘 모르겠다”면서 “편지 내용을 보면 (아버지가) 개소식에도 오셨는데 그때 (명칭 사용에 대한) 허락이나 동의가 있었을지도 모르는 일”이라고 말했다.
 
 박성국 기자 psk@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