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희망임금 “월평균 213만원” 주5일 근무 선호도↑

청년 희망임금 “월평균 213만원” 주5일 근무 선호도↑

김유민 기자
김유민 기자
입력 2016-04-19 09:43
업데이트 2016-04-19 09: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취업 준비 청년 희망임금 213만원.
취업 준비 청년 희망임금 213만원.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들이 최소 월평균 213만원의 임금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정시 퇴근과 주 5일 근무, 출퇴근이 편한 직장 등 근무환경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비중 또한 늘어났다.

18일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발표한 ‘청년층의 취업 눈높이 실태와 과제’에 따르면 청년층이 취업 후 희망하는 최소한의 월 평균 임금(유보임금)은 2010년 178만6000원에서 2014년 212만7000원으로 34만1000원 증가했다. 매년 4.5%씩 증가한 셈이다.

이번 조사는 2010∼2014년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7~11차(2010년~2014년) 한국교육고용패널 5개년도 원자료를 분석한 결과다. 조사 대상은 1차 조사가 이루어진 2004년 당시 일반계 및 전문계 고등학교 3학년이며, 이 중 7차 ~11차 조사에 모두 응답한 1735명을 분석했다.

성별로 보면 남성의 유보임금은 189만7000원에서 239만3000원으로 연평균 6% 증가한 반면 여성은 165만7000원에서 181만6000원으로 연평균 2.3% 올랐다.

청년층은 임금 외에 근로환경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주 5일 근무제 일자리를 선호하는 비율은 2012년 41.4%에서 2014년 60.8%로 지난 5년간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근무시간 준수는 61.4%에서 71.0%, 직장 소재지와 관련한 항목 중 통근이 수월한 직장을 선호하는 비율은 57.1%에서 67.0%로 뛰었다. 반면 수도권, 서울 강남권, 도시권 직장을 선호하는 비율은 29.9%에서 26.3%로 소폭 하락했다.

남성은 여성보다 공무원·대기업·공기업 등 안정적으로 근무할 수 있는 고임금 정규직 일자리를 선호했다. 여성은 근무시간과 주 5일 근무제가 지켜지고 통근이 수월해 일과 가정의 양립이 가능한 일자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