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제데모’ 지시 없었다는 청와대 VS 지시 받았다는 어버이연합

‘관제데모’ 지시 없었다는 청와대 VS 지시 받았다는 어버이연합

박성국 기자
박성국 기자
입력 2016-04-22 21:27
업데이트 2016-04-22 21: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역사교과서 국정화 찬성 집회 중인 어버이연합
역사교과서 국정화 찬성 집회 중인 어버이연합 2015년 10월 26일 서울 종로구 국립국제교육원에서 역사교과서 국정화 찬성과 함께 이를 반대하는 야당 의원을 규탄하고 있는 어버이연합 회원들. 서울신문 DB
친정부 성향의 보수단체 대한민국 어버이연합의 ‘관제데모’ 논란에 대해 청와대가 ‘사실 무근’이라며 이런 내용을 처음으로 보도한 언론사의 인쇄물 발간 차단에 나선 가운데 관제데모 정황을 재확인하는 핵심 내부자의 증언이 나왔다.

시사주간지 ‘시사저널’은 22일 추선희 어버이연합 사무총장이 21일 밤 “청와대 ㅎ행정관이 한-일 위안부 합의안 체결과 관련한 집회를 월요일(올해 1월 4일)에 열어달라고 문자메시지를 보냈다”며 “우리(어버이연합)는 월요일보다 위안부 수요집회가 있는 수요일(1월6일)에 집회를 갖는 것이 낫다고 생각해서 이를 따르지 않았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추 사무총장은 2006년 출범 때부터 어버이연합의 실질적인 운영을 도맡아 하고 있는 핵심인물이다. 현재 그는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선교재단에 보낸 1억 2000만원의 자금과 탈북자 관제집회 동원 의혹의 중심에 서 있다.

‘시사저널’에 따르면 추 사무총장은 “당시 월요일에는 다른 단체가 집회를 가졌고 우리는 수요일에 했다. (집회) 지시가 떨어지면 (단체들 사이에서) 경쟁이 붙는다. 서로 먼저 집회에 나가려고 한다”고 말했다. 청와대의 집회 지시가 여러 보수성향 단체에 수시로 내려왔다는 의미로 풀이되는 대목이다.

앞서 지난 21일 청와대와 ㅎ행정관은 ‘집회 지시’ 의혹에 대해 “사실이 아니다”라고 반박하며, 시사저널을 상대로 언론중재위원회에 정정보도를 청구하고 법원에 출간배포금지 가처분신청을 냈다. 추 사무총장의 이날 발언 증언은 청와대의 해명을 뒤집는 것이다.

하지만 추 사무총장과 어버이연합은 이날 오후 기자회견과 입장자료 등을 통해 ‘청와대 지시설’을 강하게 부인했다. 추 사무총장은 기자회견에서 “시사저널에서 잘못된 기사에 대해 해명 기회를 준다고 해서 (21일 밤) 추 총장이 만나러 갔더니 언론사 간부급과 기자가 나와서 ‘BH(청와대)가 지시했다는 걸 인정하면 어버이연합이 더 이상 문제가 되지 않게 해주겠다’고 집요하게 추 총장을 회유하고 협박했다”고 주장했다.

ㅎ행정관은 전화를 받지 않았고 문자메시지에도 답변을 하지 않았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