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5·18 왜곡’ 시정한 초등교과서 교사 참고자료 배포

교육부 ‘5·18 왜곡’ 시정한 초등교과서 교사 참고자료 배포

입력 2016-05-17 11:30
업데이트 2016-05-17 11: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5·18 재단이 만든 자료 계기교육 활용 요구는 수용안해

교육부가 5·18 민주화운동을 왜곡·축소했다는 지적이 일었던 초등학교 6학년 사회과 교과서를 보완하기 위해 교사용 참고자료를 새로 만들어 일선 학교에 배포했다.

교육부는 최근 초등 6학년 사회교과서 중 5·18 민주화운동 부분을 보완한 교수학습자료를 마련해 전국 학교에 배포했다고 17일 밝혔다.

해당 교과서는 5·18 민주화운동을 기술하는 대목에서 ‘계엄군’, ‘정변’ 용어와 관련 사진을 누락하고, 계엄군의 학살행위와 대규모 항쟁의 인과관계를 뒤바꿔놓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교육부가 마련한 교사용 참고자료는 ‘5·18 민주화 운동의 전개과정’ 부분에서 “계엄령 전국 확대와 휴교령에 반대하며 시위를 벌이던 전남대 학생들을 계엄군이 폭력적으로 진압하자 분노한 시민들이 합류하면서 시위가 확산됐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 “시위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계엄군의 집단 발포로 사상자가 발생하자 시민들이 자율적으로 시민군을 결성해 계엄군에 맞섰고 계엄군이 물러가자 시민들은 공동체 의식을 발휘해 스스로 질서를 유지했지만 마지막까지 도청에 남아있던 시민군이 탱크와 헬기를 동원한 계엄군에 의해 진압됐고 그 과정에서 많은 시민이 희생당했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교육부는 앞서 초등 6학년 사회교과서에 5·18 민주화운동이 축소·왜곡됐다는 지적이 일자 5·18 역사왜곡대책위에 유감의 뜻을 전하고 교사용 참고자료 등으로 이를 보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김양래 5·18 기념재단 상임이사는 “재단과 논의해 한 차례 수정을 거쳤던 교사용 참고자료를 최근 교육부로부터 전달받아 확인했다”며 “지금의 내용 자체는 받아들일 만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교육부는 당초 재단 측이 제시한 사진 자료 중 군인이 곤봉으로 시민의 머리를 내려치는 장면이 담긴 사진을 참고자료에서 제외했으나 협의를 거쳐 최종적으로 추가했다.

교육부는 그러나 전국 초등학교에서 시행되는 5·18 계기교육에 5·18 재단이 개발한 활동지를 사용해 달라는 요구는 받아들이지 않기로 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5·18 재단이 만든 계기교육 자료는 전국적으로 배포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부분이 있다고 판단했다”면서 “‘님을 위한 행진곡’ 등 내용도 학생들의 발달 수준을 고려할 때 가르치기에 적합하지 않은 부분이 있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