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곳곳 일제 조선총독 글씨 새긴 머릿돌 남아있어

서울 곳곳 일제 조선총독 글씨 새긴 머릿돌 남아있어

입력 2016-06-07 07:24
업데이트 2016-06-07 07: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민족문제연구소 이순우 책임연구원 “보존하되 교육수단 활용해야”

한국은행, 서울시립미술관, 마포구 래미안 푸르지오 아파트.

별다른 연결 고리가 없어 보이는 이들 건축물의 공통점은 일제강점기 때 조선 총독을 지낸 일본인의 글씨가 새겨진 머릿돌이 남아 있다는 것이다.

이순우 민족문제연구소 책임연구원은 최근 작성한 ‘조선총독들이 남긴 오욕의 흔적들- 식민통치자들의 휘호가 새겨진 정초석(머릿돌)과 기념비’라는 글에서 우리 곁에 일제강점기의 잔재가 여전히 남아 있다고 7일 전했다.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오래된 건축물과 조형물의 머릿돌·표시석에 적힌 글씨가 조선 총독 등이 썼다는 사실을 우연히 알게 된 이 연구원은 사례를 수집해 현황 파악에 나섰다.

대표적인 것이 조선 총독의 휘호가 새겨진 한국은행 본점의 머릿돌(정초석)이다. 이 머릿돌에 새겨진 휘호는 안중근 의사에게 처단된 이토 히로부미가 쓴 것이다.

1920년대 옛 경성역사를 신축할 당시 사이토 마코토 총독의 글씨를 받아 부착한 서울역 머릿돌도 글쓴이가 누구인지 알리는 부분은 뭉개졌지만, 여전히 그 자리에 있다.

서울시립미술관에는 1927년 경성법원청사를 신축하면서 사이토 총독의 글씨로 제작한 머릿돌이 또렷한 글씨체로 남아 있다.

제기동 선농단 터에 세워졌다가 인천시립박물관으로 옮겨진 잠령공양탑 비석의 앞면 아래에는 작은 글씨로 ‘고수(皐水)’라고 쓰여있는데 이는 사이토 총독의 호다.

연세대 캠퍼스에는 ‘흥아유신기념탑’이라는 조형물이 있다. 태평양전쟁을 찬양하는 의미를 담아 세운 것으로, 미나미 지로 총독의 글씨가 새겨져 있다.

이 연구원은 “조선 총독의 글씨가 담긴 머릿돌 등 조형물은 서울뿐만 아니라 전국에서 발견할 수 있다”며 “오래된 기념식수 옆에 박힌 말뚝에 쓰인 글씨도 일제의 고위 관료가 쓴 것이 많다”고 설명했다.

마포경찰서 인근에 새로 지어진 마포 래미안 푸르지오 아파트 단지 진입로 끝자락에 설치된 ‘선통물(善通物)’이라는 표시석도 이러한 기념조형물 중 하나다.

안내판에는 “선통물 표시석은 이곳에 옛 물길인 선통물천(善通物川)이 있음을 알려주는 역할을 했다. 선통물천은 물건이 먼저 통과하는 개천이라는 뜻”이라는 표시석의 역사적 의미와 함께 표시석이 원형 그대로 복제돼 지금의 자리로 이전됐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이 연구원은 “이 표시석에 글씨를 적은 사람은 일제강점기 때 조선 총독이었던 우가키 가즈시게이지만 이런 설명은 누락돼 있다”며 “이곳에 흘렀던 물길도 선통물천이라고 통용된 적이 없다. 안내판에틀린 부분이 많다”고 지적했다.

실제 이 표지석 왼쪽에는 ‘조선 총독 우가키 가즈시게’라고 한자로 써있다.

이 연구원은 “일제가 마포배수터널을 조성할 때 입구 상단에 ‘선통물(善通物)’이라고 쓴 석판을 만들어 부착했기 때문에 이런 오해가 생겼다”며 “선통물천이라는 표현 자체가 일제강점기 산물인 셈이고, 조선 총독의 글씨를 굳이 돈 들여 복제품까지 만들어 전시해야 했는지 잘 모르겠다”고 설명했다.

식민시대의 잔재라고 무조건 없애는 것이 능사는 아니겠지만, 아픈 역사의 흔적이 서울 곳곳에 남은 것을 사람들이 모르고 지나가는 것이 안타깝다고 이 연구원은 지적했다.

그는 “일제가 남긴 흔적도 우리 역사니 보존은 해야 한다”며 “다만 우리 역사를 바로 알고 깨달음을 얻을 수 있는 교육의 수단으로 활용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