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하산 장착됐지만”…급추락 도중 안 펼쳐져

“낙하산 장착됐지만”…급추락 도중 안 펼쳐져

입력 2016-06-17 20:35
업데이트 2016-06-17 20: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美 시러스사 ‘SR20’…미 공군사관학교 등 국내외 비행학교 사용

17일 오후 전남 무안에서 추락한 경비행기는 동체에 낙하산을 장착한 기종이지만 사고 당시에는 펼쳐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사고 경비행기는 무안공항 입주 민간 조종사교육원인 TTM코리아에서 보유한 교육훈련용 경비행기로, 시러스(Cirrus)사의 SR20기종이다.

시러스사에 따르면 SR20을 포함한 시러스사의 모든 비행기는 추락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동체 안에 낙하산을 장착, 비상시 레버를 당기면 비행기 바깥으로 낙하산을 펼칠 수 있게 돼 있다.

그러나 구조당국과 목격자에 따르면 낙하산은 펼쳐지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 목격자는 “경비행기가 빙글빙글 돌다가 곤두박질치기에 곡예비행을 하는 줄 알았다”며 “갑자기 ‘펑’하는 소리가 들렸다”고 말했다.

사고 당시 낙하산이 펼쳐지지 않은 이유에 대한 당국의 조사도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구조당국은 다른 교육생들의 진술을 토대로 당시 계기 비행 훈련 중이었던 것으로 파악했다.

계기 비행은 야간이나 안개가 심한 상황 등 시야가 제대로 확보되지 않을 때 계기에 의존하는 비행이다.

사고 경비행기는 블랙박스 장착기종이 아닌 사실도 확인됐다.

국토부는 기체결함 또는 조종 미숙·부주의가 있었는지 정확한 사고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SR20은 2000년 개발됐으며 미국 공군사관학교 등 외국 유명 비행훈련학교에서 많이 사용하는 기종으로 알려졌다.

4인승으로, 날개폭 11.68m, 길이 7.92m, 높이 2.7m이며 객실 폭과 높이는 각각 1.24m, 1.27m이다.

무게는 970kg, 적재량은 414kg이며 한 번 급유로 3시간 비행할 수 있으며 45분 추가 비행 가능한 비상 연료 보유 공간을 갖추고 있다.

엔진 출력은 200마력으로, 컨티넨탈사(Continental)의 IO-360-ES 모델을 사용하고 있다.

3중날 프로펠러가 장착됐고 1분간 수직상승률은 451m(1천478ft)이다.

업계에서는 상대적으로 안정성이 뛰어나고 비행 전 체크리스트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디스플레이를 갖춰 작동이 쉽다고 평가했다.

개발 이후 10년 연속 베스트셀러 경비행기로 꼽히기도 했다.

사고 비행기는 2002년 9월 제조됐으며 TTM코리아가 2013년 인수했다.

지난 3월 31일 서울지방항공청으로부터 연 1차례 시행하는 검사를 받아 이상이 없다는 판정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