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현직 검사들 잇단 비리 의혹…“뼈깎는 자성 필요”

전·현직 검사들 잇단 비리 의혹…“뼈깎는 자성 필요”

입력 2016-06-20 13:24
업데이트 2016-06-20 13: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법조비리·금품수수·주식대박 논란에 검찰 ‘술렁·착잡’

최근 전·현직 검사가 각종 사건의 당사자로 이름을 올리는 사건이 잇따라 터지면서 검찰 내부도 착잡한 분위기 속에 술렁이는 모습이다.

안타깝고 이해하기 어렵다는 반응과 함께 수사의 주재자이자 국가 형벌권을 집행하는 검사라는 점에서 한치의 의혹도 없도록 더욱 엄격하게 수사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아울러 아직 사건 전모가 밝혀지지 않았고 의혹의 실체도 완전히 파악되지 않은 만큼 신중히 결과를 지켜보자는 목소리도 있다.

최근 유독 검찰이 수사하는 사건에 피의자나 당사자로 검사들이 많이 등장했다.

정운호 네이처리퍼블릭 대표를 둘러싼 ‘법조 비리’ 의혹의 중심에 선 홍만표(57) 변호사가 대표적이다.

홍 변호사는 정 대표가 원정도박 혐의로 경찰·검찰 수사를 받게 되자 거액의 수임료를 받고 수사 검사 등에게 ‘구명·선처 로비’를 한 의혹에 휩싸였다. 탈세 등 추가 의혹도 줄줄이 불거졌다.

전직 대통령, 고위 공무원 등의 비리를 날카롭게 파헤치던 ‘특수통’ 검사의 화려한 과거는 온데간데없이 검찰청사에 피의자로 나와 조사를 받고 구속되는 처지에 이르렀다.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장이던 진경준(49) 검사장은 올해 3월 고위 공직자 재산공개 당시 게임업체 넥슨의 비상장 주식을 처분해 120억원대의 시세차익을 얻은 사실이 드러나 불법행위 아니냐는 의혹을 받았다.

주식 취득·매각 경위와 가격 등을 놓고 특혜 논란이 이는 가운데 2005년 당시 넥슨 자금을 빌려 이 회사 비상장 주식을 산 것으로 확인돼 의혹은 더욱 증폭됐다.

징계 절차가 진행돼 법무연수원 연구위원으로 전보된 진 검사장은 시민단체에 고발당한 상태라 조만간 조사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정운호 게이트’ 수사에서는 다른 현직 검사의 비리 단서가 포착됐다.

일선 검찰청 부장검사를 지낸 박모 검사는 서울메트로 상가 임대 업무와 관련해 감사원 고위 관계자에게 요청해 감사를 무마해달라는 청탁과 함께 정 대표에게서 1억원을 수수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은 박 검사를 피의자로 불러 조사할 방침이다.

L검사가 대기업 관계자의 부탁을 받고 정 대표 측에 수사 정보를 누설한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그러나 조사 결과 대기업 관계자가 문자 메시지를 조작해 해당 검사가 보낸 것처럼 정 대표 측에 전달한 것으로 드러나 일단 실체가 없는 것으로 잠정 결론이 났다.

최근 잇따르는 전·현직 검사들의 비위 의혹과 관련해 일선 검찰청의 한 부장검사는 “검찰이 너무흔들리는 것 같다. 많이 안타깝다”며 우려했다.

그는 “검사의 비위일수록 혐의가 맞다면 강하게 대응해야 한다. ‘가족’의 수사를 대충해선 안 된다”며 “원칙과 정도를 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른 검사는 “좋은 일은 아니지만, 아직 사실관계가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L검사의 경우도 ‘수사 정보 누설’ 의혹이 사실이 아닌 것으로 나오지 않으냐”며 신중한 접근을 당부했다.

한편 한 검사는 “일선 검찰청에서 과중한 업무 속에 일하는 검사들 입장에선 이런 사건들이 ‘남의 일’인 것처럼 보이는 측면도 있다”며 일부 검사들의 일탈 행위에 가깝다는 견해를 내놨다.

검사장 출신의 한 변호사는 “다른 어떤 수사보다 검찰 내부를 대상으로 한 수사가 제일 어렵다”며 “검찰의 뼈를 깎는 자성과 분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