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고용 늘어도 대부분 배달·청소…단순노무 1년새 2만 3000명 증가

청년 고용 늘어도 대부분 배달·청소…단순노무 1년새 2만 3000명 증가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16-07-01 22:46
업데이트 2016-07-01 23: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근 청년 고용이 증가했지만 단순노무직을 중심으로 고용이 늘어 일자리의 질은 오히려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1일 박진희 한국고용정보원 고용정보분석팀장이 분석한 ‘최근 청년 고용의 특징과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20대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6만 8000명 늘었다. 취업자가 오히려 줄어든 30대와 40대보단 나은 편이었지만 조사 결과 20대 취업자 상당수가 고용이 불안하고 근로조건이 열악한 일자리에 몰려 있었다. 20대 청년층 취업자가 가장 많이 늘어난 직종은 경비·배달·건물청소 등 단순노무직이다. 전년보다 취업자가 2만 3000명 증가했다. 판매 종사자는 2만 2000명 늘었고,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는 1만 6000명이 늘었다. 반면 제법 안정적인 일자리로 볼 수 있는 전문직 및 관련 종사자는 8000명 증가하는 데 그쳤고, 사무 종사자와 관리자는 3000명 줄었다.

고용계약기간이 1년 이하인 단기계약직 비중도 커졌다. ‘최종학교 졸업 후 첫 일자리의 고용계약기간이 1년 이하’인 청년층은 2006년 8.7%에 불과했으나 2015년 20.7%로 급격히 상승했다. 반면 계약 기간을 정하지 않은 무기계약직으로 사회에 첫발을 내디딘 청년의 비중은 같은 기간 66.9%에서 61.1%로 줄었다. 청년층 비정규직 비중은 2012년 이후 완만하게 상승해 2015년 34.6%에 이르렀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6-07-02 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