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 산소통에 산소 떨어졌어요” 헬기이송 10세 여아 ‘의식불명’

“딸 산소통에 산소 떨어졌어요” 헬기이송 10세 여아 ‘의식불명’

입력 2016-07-18 10:27
업데이트 2016-07-18 1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앙소방본부 “산소공급장치 기계 결함”…감찰조사·재발방지 착수

중앙구조본부 소방헬기.
중앙구조본부 소방헬기.
“중환자를 이송하는 헬기에 산소가 떨어진다는 게 말이 되나요? 너무 억울합니다.”

지난 12일 병원을 옮기려 소방헬기에 탔던 초등학교 3학년 10살 여아가 황당한 의료사고로 의식불명에 빠졌다는 부모의 안타까운 사연이 한 지방자치단체 게시판에 올라왔다.

전북의 한 종합병원에 아이를 입원시켰던 글쓴이 A씨는 지난 7일 서울에 있는 병원으로 아이를 옮기려다가 평생 잊을 수 없는 일을 겪었다.

A씨의 딸은 지난 2일 오전 5시께 갑작스럽게 경기를 일으켜 지역 의료센터에서 응급처치를 받았다.

이후 상태가 악화해 전북의 한 종합병원 중환자실에 입원하게 됐다.

아이는 폐부종이 심각한 상태였고, 설상가상으로 맹장 소견까지 발견됐다.

병원 관계자는 A씨에게 맹장 수술이 필요하지만, 아이가 폐부종이 심해 수술을 버틸 수 있을지 확실하지 않다는 소견을 알렸다.

A씨는 큰 병원으로 아이를 옮기기로 했고, 7일 오후 소방헬기로 서울에 있는 병원으로 아이를 옮길 채비를 마쳤다.

이때만 해도 아이는 산소마스크를 착용하긴 했지만, A씨와 눈도 마주치고 간단한 대화 정도는 할 수 있는 상태였다.

병원 의료진은 산소통이 장착된 이동식 침대에 아이를 눕혀 헬기가 도착하는 병원 옥상 헬기장으로 옮겼다.

문제는 뜻밖의 곳에서 터졌다.

헬기는 도착 예정 시간보다 10∼15분 늦게 도착했고, 이동식 침대에 달린 산소통의 산소마저 바닥이 났다. 의료진은 급하게 수동식 산소 공급기로 산소를 공급하며 소방헬기로 환자를 옮겼다.

그러나 어찌 된 일인지 소방헬기에 있는 의료키트의 산소 공급기가 작동하지 않았다.

10여 분이 더 지체됐고 산소공급이 끊긴 환자의 상태는 더 악화했다.

의료진은 결국 헬기 이송을 포기하고 응급실로 환자를 이송했다. 이 여파로 A씨의 딸은 자가 호흡이 불가능해 인공호흡기를 호흡기관 내에 삽관하고 의식도 없는 상태에 빠졌다.

A씨는 “아이가 이제는 저와 눈도 마주치지 않고 의식도 없어 대답도 하지 못한다”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A씨는 다음날 고액의 응급처치 비용까지 지불하고 나서야 구급차를 이용해 서울의 병원으로 딸을 이송할 수 있었다.

A씨는 “어떻게 중환자를 이송해야 하는 헬기의 산소통에 산소가 바닥날 수가 있느냐”며 “소방당국도 이후 사과는커녕 일절 연락조차 없다”고 분통을 터트렸다.

사고 당일 A씨의 딸을 이송하려 했던 헬기는 중앙구조본부 소속 소방헬기로 전북소방본부의 요청으로 지원을 나왔던 것으로 확인됐다.

당시 전북소방본부의 소방헬기는 연간점검을 위해 경기 김포의 정비업체에 입고된 상태였다.

전북소방본부가 환자이송 신고를 받고 대체수단으로 응급환자 대비가 잘 돼 있을 것으로 판단한 중앙구조본부의 지원을 요청한 것이 오히려 독이된 상황이었다.

중앙소방본부는 A씨의 주장에 대해 “가족들의 주장과 달리, 헬기 내 산소통에는 6시간분의 산소가 있었다”며 “다만 급작스럽게 산소를 공급하는 연결기기의 기계 결함으로 산소가 새는 고장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산소공급에 문제가 있었다는 점을 인정했다.

이 헬기는 사용 기간이 7년 8개월 된 기종으로, 지난 3월 16일 기어 박스를 교체하는 정비를 받았던 것으로 확인됐다.

정비 이후에는 8번 출동했고, 이 중 3번은 산소공급장치를 사용했다.

중앙소방본부 관계자는 “지난 3월 정비를 받을 때 의료키트를 떼었다 붙였는데 이 과정에서 결함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흔한 고장 사례가 아니어서 대비가 제대로 되지 않았던 것 같다”고 말했다.

중앙소방본부는 자체 감찰조사를 벌이고, 의료장비 점검을 전문 업체에 의뢰하는 방안 등 후속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