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 공포… 40대부터 줄서는 재취업 컨설팅

퇴직 공포… 40대부터 줄서는 재취업 컨설팅

김희리 기자
김희리 기자
입력 2016-08-02 22:22
업데이트 2016-08-03 09: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060 중장년 필수가 된 재취업

“자식들이 아직 대학생이라”
“퇴직하면 인간관계 끊길라”
55~79세 61% “더 일하고파”
상당수 비정규직 처우 개선 필요


#1 포항에 거주하는 임옥녀(54·여)씨는 30여년간 대기업 고객상담팀에서 근무하다 2013년 퇴직했다. 자녀들이 이미 독립해 경제적인 부담은 적었지만 집에만 있으려니 무력감이 몰려왔다. 임씨는 곧바로 구직 활동에 나섰으나 현실은 녹록지 않았다. 탄탄한 스펙이 오히려 장애가 됐다. 눈을 낮춰 지원해도 “대기업 다니신 분이 이런 일을 어떻게 하려고 그러시느냐”며 퇴짜를 맞기 일쑤였다.

결국 임씨는 경력을 포기했다. 지난해 4월 인근 어린이집에서 아이들의 일상을 동영상으로 촬영·편집해 홈페이지에 게시하는 ‘동영상 선생님’으로 취직했다. 1년 반 만의 재취업이었다. ‘장년인턴’으로 입사했는데 석 달 뒤 정규직으로 전환되는 기쁨도 맛봤다. 임씨는 “보수와 관계없이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찾았다는 게 보람 있고 기쁘다”고 말했다.

#2 증권회사에 다니다 2013년에 퇴직한 이모(60)씨는 변변한 퇴직 후 계획 없이 사회에 나왔다가 취업시장의 냉혹함을 뼈저리게 느꼈다. 이씨는 “퇴직 후 첫 8개월 동안 실업급여를 받으면서 약 30곳의 일자리에 지원했는데, 단 한 번도 면접 기회조차 얻질 못했다”고 털어놨다. 금융권 종사자들은 전문 기술이 있는 게 아니라 주로 관리직군에 몸담았던 경우가 많은데, 관리 업무는 일자리 자체가 적은 데다 특별히 금융업계 종사자를 우대하지도 않아 구직시장에서 경쟁력이 낮다는 게 이씨의 설명이다.

현재 이씨는 지난 6월부터 경기도 일대의 사회적기업 경영을 모니터링하는 일을 맡고 있다. 모니터링 건당 8만원가량의 수고비를 받는 형태이다 보니 한 달에 손에 쥐는 돈은 고작 50여만원이다. 이씨는 “아직 아들 둘이 대학생이라 결혼도 지원해 줘야 할 텐데 걱정이 크다”고 말했다.

기대수명 증가로 중장년층 인구가 늘어나고 불경기가 지속되면서 퇴직 후 재취업 시장이 붐비고 있다. 중장년층의 재취업이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고 있는 셈이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국내 만 55~79세 성인 중 장래에도 일하기를 희망한다고 답한 비율은 61.2%에 이른다.

중장년일자리희망센터의 최성희 책임 컨설턴트는 “최근 베이비부머(1955~1963년생)의 퇴직이 본격화되면서 사무직군의 재취업 희망자가 급속하게 늘고 있는 추세”라며 “전문 기술이 없는 사무직은 업무 경력을 특화시키기 어려워 미리 전직을 준비하지 않으면 재취업에 난항을 겪을 확률이 높다”고 말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퇴직 후의 삶을 준비하는 연령대도 점차 낮아지고 있다. 센터는 올해 중장년층 생애설계 프로그램 대상 연령 기준을 기존 만 50세에서 만 45세 이상으로 훌쩍 낮췄다. 최 컨설턴트는 “40대 중반은 한창 현업에서 활발히 활동할 때라 시간을 내기 쉽지 않은데도 참여율이 의외로 높다”고 전했다. 특히 금융권 종사자들은 재취업이 어려워 전담 프로그램이 따로 신설될 정도다.

금전적인 부분이 중장년층 재취업 욕구의 유일한 동기는 아니다.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중장년층은 재취업 희망 이유로 ‘생활비에 보탬’(58.0%)에 이어 ‘일하는 즐거움’(34.9%)을 꼽았다. 퇴직 후 인간관계 단절에 대한 두려움도 구직 활동을 부추기는 요인이다. 대기업에서 2014년 퇴직한 김모(61)씨는 “퇴직 후 인간관계가 단절되는 기분이 들면서 가벼운 우울증까지 왔다”며 “사회에서 내가 아직 쓸모 있는 사람이라는 기분을 느껴 보고 싶다”고 말했다.

서울 중랑구청은 지난해부터 퇴직 예정 직원들을 대상으로 요리교실을 운영하고 있다. 외부 강사를 초빙해 6주 동안 주 1회 2시간씩 요리 수업을 진행한다. 간단한 반찬부터 멕시코·지중해 요리까지 세계 각국의 음식 조리법을 배울 수 있다. 올해 초 퇴직한 신시섭(60) 국장도 지난해 8월 요리교실을 수강했다. 신 국장은 “직장인들 사이에서는 소위 ‘퇴직하면 마누라 눈칫밥 먹어야 한다’는 두려움이 있는데, 요리를 배우면서 가족들과 관계도 돈독해지고 새로운 취미도 생겼다”며 만족감을 나타냈다.

한편 재취업 일자리의 절대적인 양뿐 아니라 질에 대한 고민이 동반돼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안재욱 경희대 경제학과 교수는 “무조건 일자리를 연결하는 데 그치지 않고 노동시장을 유연화해 중장년층이 경력이나 능력을 보일 기회조차 차단되는 일을 막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2016-08-03 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