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호선 ‘셔틀 급행’ 투입 첫날…“지하철 숨통 다소 트여”

9호선 ‘셔틀 급행’ 투입 첫날…“지하철 숨통 다소 트여”

입력 2016-08-31 15:03
업데이트 2016-08-31 15: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가양∼신논현 구간 첫 운행…출근길 혼잡도 “238%에서 200%이하로”

이미지 확대
지하철 9호선 최대혼잡 구간(가양∼신논현)에 셔틀형 급행열차가 투입된 31일 오전 서울 강서구 가양역에서 출근길에 오른 시민들이 열차를 기다리고 있다. 이날부터 운행을 시작한 셔틀형 급행열차의 출발시각은 가양역 기준 오전 7시 45분, 오전 7시 53분, 오전 8시 1분, 오전 8시 9분이다.  연합뉴스
지하철 9호선 최대혼잡 구간(가양∼신논현)에 셔틀형 급행열차가 투입된 31일 오전 서울 강서구 가양역에서 출근길에 오른 시민들이 열차를 기다리고 있다.
이날부터 운행을 시작한 셔틀형 급행열차의 출발시각은 가양역 기준 오전 7시 45분, 오전 7시 53분, 오전 8시 1분, 오전 8시 9분이다.
연합뉴스
극심한 혼잡으로 ‘지옥철’로 불리는 지하철 9호선 가양∼신논현 구간에 31일 셔틀형 급행열차가 투입돼 승객들 숨통이 다소 트였다.

서울시는 이날 9호선에 신규 차량 16량(4편성)을 추가해 운행을 시작했다.

혼잡이 가장 심한 가양∼신논현 구간에는 출근시간대 셔틀(shuttle) 방식으로 오가는 급행열차를 국내에서 처음으로 투입, 혼잡도를 낮추기 위한 실험을 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정확한 분석 결과는 아니지만, 가장 혼잡도가 높은 가양∼염창 구간 출근시간대 혼잡도가 1시간 평균 238%에서 200% 이하로 떨어진 것으로 파악됐다”며 “기대했던 효과가 나타났다”고 말했다.

셔틀형 급행열차는 가양역 기준 오전 7시45분 첫차를 시작으로, 오전 7시53분·8시1분·8시9분 등 상·하행 총 8회 승객을 실어나른다.

셔틀형 급행 말고도 퇴근시간대 급행 4회(상·하행 각 2회), 일반 6회(상·하행 각 3회)씩 늘렸다.

기존보다 하루 총 18회 운행을 늘려 약 2만명을 더 실어 나르는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시는 예상했다.

열차 운행 횟수 증가로 출근시간대(오전 7∼9시) 운행간격은 기존 3.3∼4.5분에서 2.7∼4분으로, 퇴근시간대(오후 6∼8시) 운행간격은 4분에서 3.5분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시 관계자는 “돌발상황, 홍보부족 등 혹시나 우려했던 문제점은 현장에서 나타나지 않고, 시범 운행하며 예상한 시나리오대로 성공적으로 도입된 것 같다”며 “이번 주말과 다음 주 월요일을 분기점으로 셔틀 급행 도입의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