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범계 “전자발찌 착용자 재범률 늘어…관리부실 방증”

박범계 “전자발찌 착용자 재범률 늘어…관리부실 방증”

입력 2016-09-22 07:47
업데이트 2016-09-22 07: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자발찌 착용자의 성폭력·유괴·살인·강도 등 강력범죄 재범률이 높아지는 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소속 박범계 의원(더불어민주당·대전 서구을)이 법무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자발찌를 착용한 상태서 다시 전자발찌 부착 명령 대상 범죄인 성폭력, 유괴, 살인, 강도 등을 저지른 인원은 2011년 17명(1.09%), 2012년 23명(1.32%), 2013년 33명(1.29%), 2014년 52명(1.6%), 2015년 62명(1.72%)이다. 올해(8월 기준)는 39명(1.11%)이다.

2013년 1.32%에서 1.29%로 하락한 것을 제외하면 2011년부터 매년 재범률이 높아지고 있다.

범죄 유형별로 살펴보면, 성폭력 재범자는 2011년 15명, 2012년 21명, 2013년 30명, 2014년 48명, 2015년 53명, 올해 35명이다.

유괴는 2011년 1명이 재범했고, 살인 재범자는 2011년 1명, 2012년 1명, 2013년 1명, 올해 1명으로 파악됐다.

강도 재범자는 2012년 1명, 2013년 2명, 2014년 4명, 2015년 9명, 올해 3명으로 집계됐다.

법무부 관계자는 이에 대해 재범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범죄인 강도가 2012년부터 전자발찌 부책대상 범죄에 포함돼 전체 재범률이 높아진 측면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재범률이 높아지는 추세에 있는 만큼 재범을 막을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박 의원은 “전자발찌 착용자가 재차 범죄를 저지르는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면서 “이는 전자발찌 관리가 부실화되고 있다는 방증”이라고 말했다.

이어 “철저한 전자발찌 착용자 관리와 함께 교화 활동을 병행하는 교정행정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