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스터디 최고 멤버는 ‘의욕형’ 최악은 ‘연락두절형’

취업스터디 최고 멤버는 ‘의욕형’ 최악은 ‘연락두절형’

입력 2016-09-27 16:53
업데이트 2016-09-27 16: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YBM토익 구직자 3천여명 설문조사…가장 많이 도움되는 스터디는 ‘면접’

하반기 채용을 준비하는 구직자들 사이에서 어학시험과 면접 등을 함께 모여 준비하는 ‘취업 스터디’가 대세로 자리 잡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직자들은 가장 선호하는 스터디 멤버로는 취업에 대한 의지가 높은 사람을, 가장 ‘꼴불견’은 스터디 당일 연락이 끊기는 사람을 꼽았다.

27일 국내 토익(TOEIC) 시험을 주관하는 YBM한국토익위원회가 토익정보 사이트 ‘토익스토리’(www.toeicstory.co.kr) 방문자 3천1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의 82.3%가 취업 성공을 위해 ‘취업 스터디’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답했다.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률은 17.3%에 그쳤다.

응답자들이 경험한 취업 스터디 유형 질문(복수 응답)에는 ‘토익 등 어학 스터디’가 71.9%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어 면접이 37.3%, 자기소개서 20.4%, 인·적성검사 11.8%, 특정 기업입사를 위한 스터디가 9.4%로 나타났다.

실제로 가장 많은 도움이 된 스터디 유형(복수 응답)으로는 면접(57.9%)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어학(55.3%), 자기소개서(21.9%), 특정기업 입사를 위한 스터디(17.5%), 인·적성검사(11.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구직자들은 함께 할 스터디 멤버의 자질로 취업에 대한 의지(62.1%)를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았다. 희망직무·직종(49.8%), 어학성적(26%), 거주지역(24.9%) 등도 비중 있는 요소로 꼽혔다.

가장 선호하지 않는 스터디 멤버 유형을 묻는 설문에는 스터디 당일에 갑자기 연락이 끊기는 ‘연락 두절형’이 27.4%로 응답률이 가장 높았다. 이어 술만 먹자고 하는 ‘친목형’(26.1%), 매번 다양한 유형으로 결석하는 ‘핑계형’(19.8%), 독단적으로 스터디를 진행하는 ‘독재형’(14.4%), 다 같이 약속한 숙제를 매번 해오지 않는 ‘나 몰라라형’(12.3%) 순이었다.

YBM 한국토익위원회 관계자는 “하반기 채용 시즌이 한창인 가운데 구직자들이 대부분 취업 관련 스터디를 통해 도움을 얻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 훈련할 수 있는 취업 스터디를 선택한다면 하반기 채용에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