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국어 12번 문항도 ‘복수정답’ 논란···국립국어원 “잘못 설명”

수능 국어 12번 문항도 ‘복수정답’ 논란···국립국어원 “잘못 설명”

오세진 기자
입력 2016-11-18 22:05
업데이트 2016-11-18 22: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해 수능 ‘국어 영역’도 복수정답 논란
올해 수능 ‘국어 영역’도 복수정답 논란 한국사 영역 복수정답 논란에 휩싸인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시험)의 국어 영역도 같은 논란에 빠졌다. 12번 문항이 문제가 되고 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정답으로 제시한 5번 답지문 외에 1번 답지문도 정답으로 볼 수 있다는 답변을 국립국어원이 수차례 게시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EBS 뉴스 화면 캡처


한국사 영역 복수정답 논란에 휩싸인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시험)의 국어 영역도 같은 논란에 빠졌다. 12번 문항이 문제가 되고 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정답으로 제시한 5번 답지문 외에 1번 답지문도 정답으로 볼 수 있다는 답변을 국립국어원이 수차례 게시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EBS 뉴스’ 보도에 따르면 올해 수능시험에서 출제된 국어 영역 12번 문항은 ‘음운 현상’을 묻는 문제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평가원)은 정답을 5번만 인정하고 있다.

‘읊고[읍꼬]’에는 이 문제 보기 (가)의 설명처럼 음절의 종성에 마찰음이 올 경우 예사소리로 교체되고, 보기 (나)의 설명처럼 음절의 종성에 자음군이 올 경우 한 자음이 탈락한다는 선택지 5번만 맞다는 것이다.

반면 ‘꽂힌[꼬친]’에는 음절의 종성에 파찰음이 올 경우 파열음의 예사소리로 교체되는 음운 변동이 있다고 한 선택지 1번은 틀렸다는 것이 평가원의 입장이다.

그런데 국립국어원이 홈페이지를 통해 1번 내용도 정답이 될 수 있다는 취지의 답변을 해온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6월 ‘꽂히다’에 대한 표준발음법 적용을 묻는 질문에 대해 국립국어원은 축약이 아닌 음절의 끝소리 규칙이 적용되는 ‘꼳히다-꼬티다-꼬치다’의 음운 변동 과정을 거친다고 밝히는 등 수차례 같은 답변을 반복해서 달았다.

이에 근거하면 국어 12번 문항의 1번도 정답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꽂힌’은 음절의 끝소리 규칙이 적용되면 ’꼳힌‘으로 바뀌고, 축약을 거쳐 구개음화 현상으로 이어지면서 보기 (가)에서 설명한 “종성인 파찰음 ‘ㅈ’ 이 파열음의 예사소리인 ‘ㄷ’ 으로 교체된다”는 내용에 해당되기 때문이다.

논란이 불거지자 국립국어원은 자신들의 실수로 답변을 잘못한 것이라며, 표준발음법 적용에 따라 1번은 오답이라는 입장을 전해왔다.

국립국어원 관계자는 EBS와의 인터뷰에서 “저희가 답변을 잘못한 건 분명히 있지만, 이거는 잘못한 거지 그렇다고 해서 ’꽂히다‘의 구개음화를 인정해야 한다라고는 할 수 없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국립국어원이 수능 시험 전부터 해당 답변을 수차례 제시하면서 이를 통해 공부한 수험생들은 1번을 답으로 했을 가능성이 커 복수정답 논란은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