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노조 확대 쟁대위 개최…장기파업 끝내나

철도노조 확대 쟁대위 개최…장기파업 끝내나

입력 2016-11-22 15:03
업데이트 2016-11-22 15: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야 3당 ‘선 파업 철회’ 요청 수용 여부 주목

지난 9월 27일 이후 57일째 이어지고 있는 전국철도노동조합의 파업이 종료될 가능성이 점쳐진다.

22일 코레일에 따르면 철도노조는 이날 오후 서울에서 전국의 지부장들이 모두 참석한 가운데 확대 쟁의대책위원회를 열어 향후 파업대책을 논의했다.

확대 쟁의대책위원회는 통상 파업 돌입과 철회 등 중대 결정을 내리기 위해 여는 회의여서 결과가 주목된다.

이날 확대 쟁대위는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정의당 등 야 3당 의원들이 장기화한 철도파업 사태 해결을 위해 노조가 우선 파업을 철회할 것을 요청함에 따라 이를 논의하기 위해 소집됐다.

조정식 국회 국토교통위원장 등 야 3당 의원들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정부와 코레일의 공공기관 성과연봉제 강행으로 철도파업이 두 달 가까이 지속하면서 국민의 불편은 물론 안전까지 크게 위협받고 있다”며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와 철도노조가 대승적 차원에서 파업을 접고, 현장에 복귀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들은 “비록 노사합의에는 이르지 못했지만, 국정 정상화 과정에서 최우선 의제로 야 3당이 한목소리로 약속한 만큼 노조 측이 야 3당의 제안을 먼저 수용해 달라고 요청한다”며 “야 3당은 정부의 성과연봉제 시행으로 발생한 이번 사태의 조속한 해결을 위해 국회 차원에서 진상조사에 나설 것”이라고 약속했다.

코레일은 야 3당이 파업 철회를 요청한 뒤 확대 쟁의대책위가 열리는 점에 주목해 파업 철회 결정이 나오기를 기대하고 있다.

철도노조는 신중한 입장이다.

철도노조 관계자는 “확대 쟁대위는 현 상황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는 자리로, 중대 결정이 나오기 쉽지 않다”라며 “적어도 2∼3일 이상의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야 파업 철회 여부 등에 대한 결정을 내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철도노조는 성과연봉제 도입을 확정한 5월 30일 코레일 이사회 결정의 효력을 정지시키는 가처분 소송을 이르면 23일 중 법원에 제기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