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K금융그룹 엘시티 특혜대출 의혹의 끝은 어디까지

BNK금융그룹 엘시티 특혜대출 의혹의 끝은 어디까지

입력 2016-11-22 15:43
업데이트 2016-11-22 15: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조1천500억원대 PF 약정 외에 분양부진 대비 추가대출도 약정

BNK금융그룹의 엘시티 특혜대출 의혹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있다.

지방금융그룹인 BNK금융그룹이 계열사들을 동원해 1조1천500억원에 달하는 대규모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을 약정한데다 분양이 지지부진할 경우 추가로 자금을 대출해주기로 이면 약정을 했던 것으로 22일 알려졌다.

또 시행사인 엘시티 PFV에 주주로 참여한 업체가 BNK금융그룹 계열사인 부산은행에서 거액을 대출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업체의 대표는 구속된 이영복 회장의 최측근 인사다.

따라서 BNK금융그룹의 엘시티 관련 직간접 대출 규모가 밖으로 드러난 PF 약정 대출과 더불어 상당 규모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에 따라 검찰 수사와 별개로 때마침 21일부터 25일까지 일정으로 부산은행을 대상으로 리스크 관리 및 내부통제 실태 점검에 나선 금융감독원의 행보에 시선이 모아지고 있다.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BNK금융그룹 계열사인 부산은행 8천500억원, 경남은행 2천500억원, BNK캐피탈 500억원 등 총 1조1천500억원 규모의 PF 약정을 엘시티 PFV와 맺었다.

이는 15개 금융기관이 참여한 1조7천800억원 규모의 PF 약정 중 64.6%에 달하는 대출을 BNK금융그룹 계열사들이 책임지는 구조이다.

이것도 모자라 BNK금융그룹의 계열사인 경남은행은 엘시티 레지던스 분양이 저조할 경우 3천억원의 추가대출을 해주기로 하는 이면 약정까지 엘시티 PFV와 맺은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권 일각에서는 “분양이 부진할 것에 대비해 PF 약정 금융기관이 추가대출을 약정한 것은 흔하지 않은 일”이라며 “BNK금융그룹이 엘시티 사업과 관련해 끌려다닐 수밖에 없었던 사정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라고 밝혔다.

한편에서는 2008년 엘시티 PFV 출범 당시 부산은행이 주주로 참여하는 것이 과도한 자금 지원에 나설 수밖에 없었던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엘시티 사업에 대한 직접적인 자금 지원과 함께 부산은행은 엘시티 PFV 주주사 중 이영복 회장의 위장 또는 차명 관계사 의혹을 받는 일부 업체와도 거래관계를 맺고 수백억원 규모의 사업과 운영자금을 빌려준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