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7년에도 지금도… 청년은 민주주의를 외친다

87년에도 지금도… 청년은 민주주의를 외친다

홍인기 기자
홍인기 기자
입력 2016-12-04 18:00
업데이트 2016-12-05 0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광장에서 만난 1987 ‘6월 항쟁’ 세대와 2016 ‘촛불’ 세대

이제는 50대가 된 1987년 6월 항쟁 세대와 20·30대 촛불 세대가 서울 광화문광장을 비롯한 전국 곳곳의 촛불집회에서 만났다. 두 세대가 촛불집회를 보는 감회는 사뭇 달랐지만 민주주의를 지키려는 열망은 같았다. 민주주의의 초석을 세운 세대와 무너진 민주주의를 다시 세우려는 세대의 공감 어린 대화를 지난 3일 6차 촛불집회 현장에서 들어 봤다.

이미지 확대
6월 항쟁 세대가 가장 놀란 것은 비폭력, 평화 기조, 풍자와 패러디, 다양한 참여 계층 등 달라진 집회 문화였다. 또 민주주의를 지키지 못해 학업, 취업, 결혼 등으로 고민하는 청년 세대들을 다시 광장에 불러냈다며 미안해했다. 청년들은 해야 할 일을 하는 거라며 끝까지 힘을 보태 달라고 답했다.

‘82학번 동기회’라는 깃발을 들고 촛불집회에 나온 김상진(53)씨는 “당시에는 무능하고 부패한 군사독재 정권의 억압을 떨쳐 내기 위해 거리로 나왔다”며 “투쟁의 결과로 6·29선언이 이뤄졌고, 대통령 직선제를 쟁취했다고 생각한다”고 회상했다. 하지만 그는 “힘겹게 쟁취했던 민주주의가 송두리째 무너졌고 또다시 민주주의를 세우기 위해 나왔다”며 “지금의 청년들에게 미안하다”고 말했다.

강남훈 한신대 교수도 집회 현장에서 대학생들과 만남을 갖고 “6월 항쟁 당시 대통령 직선제 이후 사회 시스템에 대한 논의를 하지 못했는데 그 짐을 여러분이 짊어지게 된 것 같아 미안하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대학생 한정혁(21)씨는 “집회에 참가하는 것을 짐이라고 여기거나 희생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당연히 해야 할 일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청년들에게 미안해하기보다 끝까지 함께 힘을 보태 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조은 청년참여연대 활동가도 “청년들은 절대 비정치적이지 않다”며 “우리에게 주어진 절망과 분노, 슬픔을 견디지 못해 광장에 나왔다”고 밝혔다.

김영래(20)씨는 “(이전 세대가) 군사정권에 맞서 피로 일궈 낸 민주주의가 박근혜 대통령 한 사람 때문에 위기를 맞았다”며 “국민 모두의 힘으로 헌법과 민주주의가 무너진 나라를 다시 정상으로 돌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6월 항쟁 세대는 집회 문화와 분위기에 대해선 새로운 경험이라고 전했다. 85학번인 박모(50·여)씨는 “당시에는 경찰의 과잉 진압에 맞서는 폭력집회가 일상이었고, 잡힐 경우 구류를 살기도 했다”며 “시위를 총괄하는 지도부가 있었고 참가자들은 일사불란하게 조직적으로 움직였다”고 소개했다.

대학생 서진권(23)씨는 “1987년에는 경찰이 최루탄을 쏘는 게 당연한 일이라고 들었다. 촛불집회에서는 경찰도 폭력·과잉 진압을 하지 않는다”면서 “지도부 없이도 함께 촛불을 들고 노래를 부르며 우리의 의사를 충분히 전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6월 항쟁과 촛불집회를 경험했다는 위정현(52) 중앙대 경영학과 교수는 “갓난아이를 데리고 온 부모부터 초등학생, 중고생, 대학생까지 참여 계층이 다양해진 것이 1987년과 가장 다른 점”이라고 언급했다.

최근에는 혼자서 촛불을 드는 경우도 많다. 대학생 최모(21)씨는 “평소 정치에 관심이 없지만 이대로 가만히 있어서는 안 되겠다는 생각에 혼자 집회에 나왔다”며 “시간이 흘러 내 아이들이 ‘아빠 그때 뭐했어’라고 물어볼 때 부끄러운 대답을 하기 싫다”고 말했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16-12-05 10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