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보건시민센터 “올해 가습기살균제 피해접수 4천여건”

환경보건시민센터 “올해 가습기살균제 피해접수 4천여건”

입력 2016-12-20 12:08
업데이트 2016-12-20 12: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피해자 모임 대표 “특별법 조속히 제정해야”

가습기살균제 피해를 봤다고 정부에 신고한 건수가 올해에만 4천건이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환경보건시민센터는 20일 오전 서울 신문로 센터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가습기살균제 피해 신고가 재개된 올해 4월부터 이달 16일까지 환경부 환경산업기술원에 신고된 건수가 4천12건, 이 가운데 사망자는 868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5년간 누적 신고 건수는 5천294건, 사망자 수는 1천98건이다.

최예용 환경보건시민센터 소장은 “올해 가습기살균제 피해 신고가 급격히 늘어난 것은 올해 4월 이후 언론보도가 폭증하면서 시민들이 사건 인지와 관심이 높아졌기 때문”이라며 “아직도 자신 또는 가족이 피해자인 줄 알지 못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므로 정부가 입원 환자 전수조사 등을 통해 관련자를 적극적으로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 소장은 현재까지 피해 신고를 한 사람들은 잠재적 피해자의 1% 수준일 것으로 추산했다.

지역별로는 경기도와 서울의 피해자가 가장 많았고 이어 인천·부산·대구 등 순으로 대체로 지자체별 인구에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11월30일 기준 경기도의 피해 신고 수는 1천563명(사망 299명·생존 1천264명)이고 서울 1천164명(사망 245명·생존 919명), 인천 388명(사망 89명·생존 299명), 부산 279명(사망 67명·생존 212명), 대구 241명(사망 38명·생존 203명)이다.

해외 거주자 가운데서도 사망자 2명, 생존자 9명 등 11건의 피해 신고가 있었다. 이들은 국내에서 가습기살균제를 사용하다 해외로 이주했거나 해외의 한인 슈퍼에서 가습기살균제를 구매해 쓴 사람들이라고 센터는 설명했다.

강찬호 가습기살균제피해자와가족모임(가피모) 대표는 “피해자 가운데 돌아가신 분들도 많고 (진상규명은) 시간 싸움이었는데도 이미 5년을 허비했다”며 “관련 특별법을 조속히 마련해서 정부가 진상을 규명하고 피해자들의 문제가 해결되고 재발방지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호소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는 하루 전인 19일 가습기살균제 피해구제법안 심의에 착수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