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기념물 덮친 AI… 원앙 101마리 안락사

천연기념물 덮친 AI… 원앙 101마리 안락사

유대근 기자
입력 2016-12-22 23:28
업데이트 2016-12-23 02: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대공원 “49마리 양성 판정”

정부 “계란 매점매석 감시 강화”

조류인플루엔자(AI)에 방역망이 뚫린 서울대공원에서 천연기념물인 원앙 101마리를 대량으로 살처분한다. 최악의 경우 원앙 140여 마리 전체가 몰살될 가능성도 있다. 정부는 급등한 계란값을 잡기 위해 범부처 합동대책을 내놓기로 했다.

서울대공원은 AI로 폐사한 황새가 살던 ‘황새마을’(새장) 안에서 같이 사육되는 원앙 101마리 전체를 보건환경연구원에 의뢰해 조사한 결과 H5 양성 4마리, M진(gene) 양성 45마리, 음성 52마리로 나타났다고 22일 밝혔다. 대공원 관계자는 “M진 양성이란 AI 바이러스가 있다는 뜻으로 H5 양성일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대공원 측은 H5와 M진 양성 판정을 받은 49마리를 살처분하고 음성으로 나온 52마리도 예방적 차원에서 살처분하기로 했다. 살처분에는 동물 안락사 전용약품인 ‘T61’을 이용해 고통을 최소화할 것으로 알려졌다.

AI 살처분 여파로 계란 대란이 우려되자 정부는 중간 상인들의 매점매석 행위나 담합 때문에 가격이 급등할 개연성이 있다고 보고 관련 대책을 내놓기로 했다.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은 이날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경제부총리를 중심으로 AI 확산으로 상승한 계란 가격을 포함해 민생물가를 철저히 관리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따라 물가대책을 총괄하는 기획재정부와 시장 감시 기능이 있는 공정거래위원회가 계란 유통과정을 들여다볼 것으로 알려졌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3일 깨지기 쉬운 계란 대신에 액란, 계란가루 등 대체품을 항공 수입하는 등의 대책을 내놓을 예정이다. 국세청은 AI로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에게 세금 납부 기한 연장, 징수 유예 등을 해 준다.

서울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세종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6-12-23 1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