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계급장 뗀 박근혜, 조사실선 “피의자” 호칭이 원칙

‘대통령’ 계급장 뗀 박근혜, 조사실선 “피의자” 호칭이 원칙

입력 2017-03-15 11:26
업데이트 2017-03-15 11: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과거 전직 대통령 조사에선 ‘대통령’ 주로 사용…조서에도 ‘피의자’ 기재

이달 21일 검찰에 피의자로 출석하라는 통보를 받은 박근혜 전 대통령이 실제 검찰청사에 나와 조사실에 들어가면 원칙적으로 ‘피의자’로 불리게 된다.

대검찰청이 펴낸 조사 관련 실무매뉴얼에도 혐의를 캐묻는 신문의 공식적 의미를 살리기 위해 피의자 신문에선 ‘피의자’ 호칭을 사용하라는 내용이 실려있다. “○○○씨에 대한 호칭은 법에 따라 피의자로 부르도록 하겠다”고 고지하고 피의자로 부르는 식이다.

설령 예우와 수사 편의상 대통령으로 호칭하더라도 공식 기록인 피의자 신문조서에는 피의자라는 표현을 적는 게 원칙이다.

다만 과거 전직 대통령 조사 사례에서는 예우 차원에서 ‘대통령’이라는 호칭이 주로 사용된 것으로 전해졌다.

1995년 노태우 전 대통령이 전직 대통령 최초로 소환조사를 받을 때 문영호 당시 중수2과장이 “호칭은 편의에 따라 그때그때 바꿔 부르겠다”며 양해를 구했고, 노 전 대통령이 “괜찮다. 편한 대로 부르라”고 답하자 필요할 때 대부분 ‘전(前) 대통령’이라고 부른 것으로 알려졌다.

같은 해 전두환 전 대통령의 조사 때도 ‘대통령’으로 호칭이 정리됐다.

2009년 노무현 전 대통령이 대검 중수부에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했을 땐 검사는 “대통령께서는…”이라고, 노 전 대통령은 “검사님”이라고 호칭을 부른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