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 개미’ 부산항 감만부두 아스팔트 사이로 25마리 발견

‘살인 개미’ 부산항 감만부두 아스팔트 사이로 25마리 발견

김유민 기자
김유민 기자
입력 2017-10-03 22:33
업데이트 2017-10-03 22: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살인 개미’로 불리는 맹독성 붉은 독개미가 처음으로 발견된 부산항 감만부두의 출입차량 방역이 허술한 것 아니냐는 문제가 제기됐다.
’살인개미’ 찾아라…부산항 감만부두 아스팔트 제거
’살인개미’ 찾아라…부산항 감만부두 아스팔트 제거 3일 오후 부산시 남구 부산항 감만컨테이너 야적장에서 농림축산검역본부 관계자들이 맹독성 붉은 독개미 확인과 추가 개미집 발견 등을 위해 굴착기를 동원해 야드의 아스팔트를 걷어내는 작업을 하고 있다. 당국은 오는 12일까지 관계부처 합동으로 붉은 독개미가 처음 발견된 감만컨테이너 야적장 전체에 대한 일제 조사를 해 추가로 붉은 독개미 군집 서식 여부를 파악하기로 했다. 2017.10.3
연합뉴스
3일 농림축산검역본부 등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오후 5시 부산항 감만부두 2선석 컨테이너 적재장소에 깔린 아스팔트 틈새를 뚫고 나온 잡초 사이에서 개미 25마리가 발견됐다.

이 개미들은 이튿날 오전 9시 붉은 독개미로 최종 확인됐다. 이후 감만부두에서 밖으로 나오는 모든 차량은 소독 작업을 거치게 됐다. 그러나 화물차량은 물론 일부 업무용 승용차도 차체 소독 없이 부두를 출입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농림축산검역본부 관계자는 “일부 차량이 소독 작업 없이 감만부두를 출입하고 있어 인력을 보강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당국은 3일 독개미의 서식처를 찾아내 박멸하려고 감만부두 내 컨테이너 야적장의 아스팔트 일부를 걷어내고 약제를 뿌렸다. 현재까지 여왕개미의 행방은 물론 독개미의 유입경로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농림축산검역본부 관계자는 “컨테이너는 밀폐되기 때문에 독개미가 그 안으로 들어갔을 수는 없고 독개미가 다른 곳으로 분산됐을 가능성은 없다”고 말했다. 이어 “검역을 위한 전체 컨테이너 조사는 인력이나 규정상 가능하지 않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