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복범죄 4년간 38%↑…“피해자전담경찰관 배치 늘려야”

보복범죄 4년간 38%↑…“피해자전담경찰관 배치 늘려야”

입력 2017-10-13 10:21
업데이트 2017-10-13 10: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범죄 피해자의 신고 등에 격분해 벌이는 보복범죄가 4년간 38%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바른정당 황영철 의원은 경찰청에서 최근 5년간 보복범죄 발생 현황을 제출받아 분석한 결과 지난해 보복범죄는 328건으로 2012년 236건에서 38% 늘어난 것으로 드러났다고 13일 밝혔다.

지난해 기준 보복범죄가 가장 많았던 지역은 76건을 기록한 서울이었고, 경기가 58건(경기남부 43건, 경기북부 15건), 부산이 38건으로 뒤를 이었다.

증가율로는 울산이 2012년 2건에서 지난해 6건으로 200% 늘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고 경북이 150%(8건→20건), 경기 93%(30건→58건), 대전 89%(9→17건) 등 순이었다. 보복범죄가 줄어든 지역은 전북(14건→4건)이 유일했다.

보복범죄로 인한 사상(사망·상해)자도 2012년 38명에서 지난해 85명으로 123% 증가했다. 다만 사망자만 보면 2012년 3명, 2013∼2014년 각 1명, 2015∼2016년 각 0명으로 줄었다.

범죄 피해자에 대한 보복범죄가 늘어나고 있지만 피해자 보호를 전담하는 경찰관은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피해자전담경찰관은 총 252명이지만 올해 1∼7월 이들이 처리한 업무는 총 1만9천949건으로, 1인당 평균 79건을 처리했다.

특히 일부 지역은 피해자전담경찰관 1인당 업무처리 건수가 최대 173건(인천청)에 이를 정도로 인력배치 불균형이 있었다.

황 의원은 “보복범죄는 피해자가 다시 범죄에 노출돼 이중의 피해를 보는 범죄로 제대로 된 공권력이 작용한다면 발생해서는 안 되는 범죄”라며 “피해자전담경찰관의 적절한 인력 배치를 통해 보복범죄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