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자수 다시 30만명대 회복…청년 체감실업률은 고공행진

취업자수 다시 30만명대 회복…청년 체감실업률은 고공행진

이혜리 기자
입력 2017-10-18 08:58
업데이트 2017-10-18 08: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달 국내 취업자 증가 폭이 다시 30만명대를 회복했다.
고졸도 간절한 취업
고졸도 간절한 취업 4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17 고졸 성공 취업 대박람회’를 찾은 예비 고등학교 졸업생들이 휴대전화 카메라로 관심 있는 채용 공고를 찍고 있다.
연합뉴스
통계청이 18일 발표한 9월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684만 4000명으로 1년 전보다 31만 4000명 증가했다.

올해 3월부터 6개월 연속 30만 명 이상 증가한 취업자 수는 지난달 조사 대상 기간에 비가 많이 와 20만 명대로 떨어졌다가 다시 30만명대를 회복했다.

산업별로 건설업, 공공행정·국방및사회보장행정, 도매및소매업 등에서 늘었고 금융및보험업, 교육서비스업, 전문·과학및기술서비스업 등에서 줄었다.

제조업은 1년 전보다 2만 4000명 늘어나면서 4개월 연속 증가했지만 증가폭은 8월(2만 5000명)보다 오히려 줄었다.

빈현준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제조업 증가폭은 줄었는데 지난달과 비교해서 규모 자체가 그렇게 차이가 나지는 않아보인다”라며 “여전히 조선 관련 산업은 안좋지만 식품 등은 좋은 쪽이 있다”라고 말했다.

8월에 1년여만에 처음으로 줄어든 자영업자는 4만 5000명 늘어나면서 한 달만에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고용률은 61.3%로 1년 전보다 0.3%포인트(p) 상승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6.9%로 1년 전보다 0.5%p 상승했다.

실업자 수는 25∼29세, 50대에서 증가했지만 20∼24세, 30대, 40대 등에서 감소하면서 1년 전보다 5만1천명 줄어든 93만 5000명이었다.

실업률은 3.4%로 1년 전보다 0.2%p 하락했다.

청년층 실업률은 9.2%로 1년 전보다 0.2%p 떨어졌다.

반면 청년 체감실업률인 고용보조지표 3은 21.5%로 1년 전보다 0.2%p 상승하며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이는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15년 이후 9월 기준으로 가장 높은 수준이다.

비경제활동인구는 육아(-7.7%), 재학·수강(-1.5%) 등에서 줄었지만 쉬었음(12.4%), 연로(3.0%) 등에서 늘어나 1년 전보다 5만 4000명 늘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