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고 탓에’…소득신고 국민연금 지역가입자 40%가 체납

‘생활고 탓에’…소득신고 국민연금 지역가입자 40%가 체납

입력 2017-10-18 10:36
업데이트 2017-10-18 1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윤소하 의원 “노후빈곤 위험…지원 필요”

소득이 있다고 신고한 국민연금 지역가입자 10명 중 4명이 생활고로 보험료를 내지 못해 노후 사각지대에 내몰려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윤소하 의원(정의당)이 국민연금공단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지역 국민연금 소득신고자 413만명 중 연금보험료 납부자는 250만명(60.4%), 체납자는 163만명(39.4%)이었다.

체납자의 소득 현황을 살펴보면 2016년 노동자 최저 임금인 월 125만원 미만이 118만명으로 72.3%에 달했다.

213만5천원 이상의 소득이 있는 경우는 9.9%에 불과했다.

체납 기간을 보면, 1년 이상 장기체납자가 105만5천명으로 64.8%를 차지해 체납이 구조적인 문제로 고착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윤 의원은 “상당수 체납자가 최저임금 이하의 저소득에 따른 경제적 요인으로 보험료를 체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보험료의 절반만 부담하는 사업장가입자와 달리 지역가입자는 소득의 9%를 전액 본인이 내야 해 보험료 부담은 훨씬 크다.

윤 의원은 “도시지역 저소득 가입자는 정부로부터 아무런 지원을 받지 못하는 상황에서 장기체납으로 노후빈곤의 위험에 처해있다”며 “이들을 대상으로 한 연금보험료 지원사업을 벌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