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 내 헌법전문가 유남석 후보자…우리법연구회 출신 이력

법원 내 헌법전문가 유남석 후보자…우리법연구회 출신 이력

입력 2017-10-18 16:46
업데이트 2017-10-18 16: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년간 헌재 파견근무·헌법연구회장 역임…우리법연구회 창립 주도대법원 선임재판연구관 역임하는 등 재판실무·연구 능력 인정받아

박한철 전 헌법재판소장의 퇴임 이후 공석이었던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18일 지명된 유남석(60·사법연수원 13기) 광주고법원장은 법원 내 헌법 분야 전문가의 한 명으로 통한다.

1993년 평판사 시절 헌법연구관으로, 2008년 고법 부장판사 시절 수석부장연구관으로 모두 4년간 헌재에 파견 근무해 헌법재판 이론과 실무에 정통하다.

오스트리아 헌법재판제도 등 헌법 관련 논문을 다수 발표하고, 법원 내 헌법연구회 회장도 맡아 한국헌법학회와의 학문 교류를 증진하는 등 사법부 헌법연구 활동의 외연을 넓히고 수준을 높이는 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1988년 6월 ‘사법파동’ 당시 사법부 수뇌부 개편 촉구성명을 주도한 김종훈 전 대법원장 비서실장과 고(故) 한기택 대전고법 부장판사, 강금실 전 법무부 장관 등과 함께 진보성향 판사들의 모임인 우리법연구회 창립을 주도하기도 했다.

2010년 이 연구회 소속 판사들의 명단이 공개되면서 ‘사법부의 하나회’라는 비판이 제기되자 탈퇴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 후보자는 2012년 서울북부지법원장에 임명된 후 수차례 대법원장 지명 몫인 헌법재판관 후보 물망에 올랐지만, 번번이 고배를 마셨다. 이번에는 대통령 몫으로 지명된 만큼 국회 인사청문회를 통과하면 헌법재판관에 임명될 전망이다. 헌법재판관은 국회 동의와 상관없이 대통령이 임명할 수 있다.

그는 2014년 서울북부지법원장을 마치고 서울고법 부장판사로 일선 재판에 복귀해 재판 업무를 맡기도 했다.

서울민사지법 판사로 임관해 대법원 재판연구관, 서울지법 부장판사, 법원행정처 사법정책연구심의관, 서울행정법원 부장판사 등 핵심 보직을 두루 거쳐 대법원 선임재판연구관을 맡는 등 재판 실무와 법리 연구 실력도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다.

부인 민예홍씨와 사이에 2녀.

▲ 전남 목포 ▲경기고 ▲ 서울대 법대 ▲ 서울민사지법 판사 ▲ 서울고법 판사 ▲ 헌법재판소 헌법연구관 ▲ 대법원 재판연구관 ▲ 서울지법 부장판사 ▲ 법원행정처 사법정책연구심의관 ▲ 대전고법 부장판사 ▲ 대법원 선임재판연구관 ▲ 서울고법 부장판사 ▲ 헌법재판소 수석부장연구관 ▲ 서울북부지법원장 ▲ 서울고법 부장판사 ▲ 광주고법원장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