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기자 시대…콘텐츠에 집중해야”

“로봇 기자 시대…콘텐츠에 집중해야”

이정수 기자
이정수 기자
입력 2017-10-20 22:28
업데이트 2017-10-21 00: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뉴스미디어와 4차 산업혁명’ 대토론회

“양질의 뉴스가 생산·소비될 수 있도록 언론인과 시민에 대한 교육과 뉴스산업 진흥을 위한 연구 지원이 필요합니다.”
20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뉴스 미디어와 4차 산업혁명’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응한 뉴스산업의 지향점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있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20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뉴스 미디어와 4차 산업혁명’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응한 뉴스산업의 지향점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있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20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한국언론진흥재단과 한국언론학회 공동 주최로 열린 ‘뉴스 미디어와 4차 산업혁명’ 대토론회에서 기술 혁신 시대에 뉴스산업이 도태되지 않고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교육과 기술에 대한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언론계·언론학계 전문가 21명이 참여한 ‘4차 산업혁명과 미디어정책 포럼’은 지난 2월부터 뉴스산업과 미디어정책 등에 대해 논의를 이어 왔다. 이날은 그 결과를 산업, 공공성, 법·제도 등 3개 분야로 나눠 발표했다.

지정토론자로 나선 허승호 한국신문협회 사무총장은 “이미 스포츠, 증권 시황 등 일부 분야에서 로봇기자가 활약하고 있다”며 “결국 언론이 집중해야 할 부분은 콘텐츠의 질적 향상”이라고 강조했다. 이 밖에 언론진흥기금 강화를 위한 미디어 관련법 개정 노력, 소규모·지역 언론의 대응전략, 저널리즘 교육을 위한 대학의 역할 등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다.

이정수 기자 tintin@seoul.co.kr

2017-10-21 1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