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사는 2030 “나는 진보”..행복한 가정 원하지만 구직에 밀린 결혼,출산

서울 사는 2030 “나는 진보”..행복한 가정 원하지만 구직에 밀린 결혼,출산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18-02-17 10:50
업데이트 2018-02-17 10: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30 가운데 89%가 “평소 스트레스 받아”

 
취업 준비에 여념 없는 2030...행복감 낮아
취업 준비에 여념 없는 2030...행복감 낮아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2030세대 가운데 한창 구직을 준비하고 있는 25∼29세의 행복감은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은 지난해 5월 서울 동작구 노량진 학원가에서 발길을 분주히 옮기고 있는 공무원 시험 준비생들.
서울신문 DB


서울에 사는 2030세대 가운데 절반인 46%는 자신의 정치적 성향이 “진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스로가 보수라고 밝힌 20~30대는 14%에 그쳤다.

 17일 서울연구원이 발표한 ‘서울 미래세대 리포트: 꿈과 현실, 그리고 정치의식’에 따르면 20∼30대의 정치 성향은 진보(45.5%), 중도(39.0%), 보수(14.1%)로 조사됐다.

이는 서울연구원이 20∼39세 젊은이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분석한 결과로 서울 시민 전체를 대상으로 한 정치성향 조사보다 진보 성향 비율이 젊은층에서 7%포인트 가량 더 높았다. 서울 시민 전체에서는 진보(38.2%), 보수(32.1%), 중도(29.7%) 순이었다.

 특히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2030세대의 진보적 성향은 여성(48.2%), 도심(54%) 및 동북권(49.3%) 거주자, 화이트칼라(47.1%) 사이에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보수적 성향은 남성(17.4%), 동남권(19.2%) 거주자, 블루칼라·자영업자(18.3%) 사이에서 더 높았다.

 젊은 세대들은 좋은 시민이 되는 데 있어 중요한 일로 ‘선거 때 항상 투표하는 것’을 첫 손에 꼽았다. 2016년 겨울을 뜨겁게 달구었던 촛불집회 등을 거친 젊은 세대들의 높아진 정치 인식을 반영하는 답으로 보인다.

 서울의 20∼30대가 가장 원하는 것은 일자리와 내 집 마련이었다. 이 때문에 결혼과 출산은 상대적으로 뒤로 밀려 있는 것이 설문에서도 감지됐다.

 ‘각 항목에 대해 어느 정도 꿈이나 욕망을 갖고 있습니까’라는 질문에 청년들은 일자리(4.07)에 가장 높은 점수를 줬고 취업(3.91), 내 집 마련(3.91), 원만한 대인관계(3.89)가 뒤를 이었다. 연애(3.36), 결혼(3.17) 출산(2.91)은 나중 문제였다.

 그러면서도 이들은 ‘성공한 삶은 무엇이냐’는 질문에 1순위로 ‘행복한 가정을 이루는 것’(40.7%)이라고 답했다. 2위인 ‘경제적 성공을 이루는 것’(20.1%)보다 응답 비율이 2배 가까이 높다. 현실과 꿈의 격차가 설문에서도 나타난 것이다.

 2030세대의 70%는 ‘일반적인 성공보다 내가 원하는 삶을 추구한다’고 답해 삶의 방향을 주체적으로 선택하길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2%는 ‘원하는 일을 성공적으로 해낼 수 있다’라고 답하는 등 자신감도 있는 반면 절반은 ‘어려운 꿈은 품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는 말에 동의해 실패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 불신도 품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행복하느냐’는 질문에는 38.5%가 그렇다고 답했다. 불행하다는 응답은 20.6%였다. 가장 높은 행복감을 보이는 연령대는 30∼34세였으며 한창 취업전선에 뛰어들어 고군분투하는 나이대인 25~29세의 행복감이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2030세대의 88.5%는 평소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답했다. 스트레스는 여성이 남성보다, 기혼자가 미혼자보다 컸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