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보고조작 의혹’ 방문조사 시도, 박근혜 거부로 무산

‘세월호 보고조작 의혹’ 방문조사 시도, 박근혜 거부로 무산

입력 2018-03-19 22:20
업데이트 2018-03-19 22: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검찰, 현재까지 수사 내용만으로 세월호 당일 행적 등 밝힐 예정

세월호 참사 보고시간 조작 의혹과 관련, 검찰이 19일 박근혜 전 대통령을 직접 조사하려 시도했으나 무산됐다.
박근혜 전 대통령 [연합뉴스 자료사진]
박근혜 전 대통령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부장 신자용)는 이날 오후 신자용 부장검사가 직접 서울구치소를 찾아 박 전 대통령을 면담했으나 박 전 대통령의 거부로 조사를 진행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검찰은 현재까지의 수사 내용만을 바탕으로 보고시간 조작 의혹의 결론과 박 전 대통령의 참사 당일 행적 등을 조만간 밝힐 것으로 보인다.

특히 검찰은 박 전 대통령이 사고 발생일인 2014년 4월16일 오전 10시 30분쯤 세월호 참사 첫 보고를 받았지만 이후 ‘늑장대응’ 비판이 일자 청와대가 나중에 보고시간을 오전 10시로 무단 수정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전 정부의 청와대 국가안보실이 세월호 사고 발생과 관련해 박 전 대통령에게 보고한 최초의 보고서인 ‘진도 인근 여객선(세월호) 침수, 승선원 474명 구조작업중(1보)’에 나온 보고시각을 ‘2014년 4월 16일(수) 09:30’에서 ‘2014년 4월 16일(수) 10:00’으로 사후 수정한 정황이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검찰은 그간 김관진·김장수 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등을 공개 소환해 조사했다. 김관진 전 실장의 경우 구속영장을 청구했으나 법원에서 기각됐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