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 유가족, 슬퍼할 자격 없다는 낙인에 더 큰 고통”

“자살 유가족, 슬퍼할 자격 없다는 낙인에 더 큰 고통”

민나리 기자
민나리 기자
입력 2018-03-26 22:44
업데이트 2018-03-27 01: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자조 모임 ‘미고사’ 리더 강명수

“자살 유가족은 가족의 죽음에 슬퍼할 새도 없이 ‘가족끼리 무슨 일이 있었기에 그런 일이 생기냐’는 비난의 시선을 받아요. 자살 유가족은 슬퍼할 자격조차 없는 것처럼 인식되는 게 한국 사회죠.”
한국자살사별자단체 ‘미안하다고맙다사랑한다’의 운영진이자 자조모임 리더로 활동하는 강명수씨가 지난 23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자살 유가족에 대한 우리 사회의 시선과 이로 인한 가족들의 심리적 고통을 설명하고 있다.
한국자살사별자단체 ‘미안하다고맙다사랑한다’의 운영진이자 자조모임 리더로 활동하는 강명수씨가 지난 23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자살 유가족에 대한 우리 사회의 시선과 이로 인한 가족들의 심리적 고통을 설명하고 있다.
한국자살사별자단체 ‘미안하다고맙다사랑한다’(미고사) 리더로 활동하고 있는 강명수씨는 지난 23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자살 유가족에 대한 사회적 낙인이 자살 유가족을 더욱 힘들게 만드는 현실을 설명했다. 강씨는 “질병이나 사고로 가족이 사망한 경우와 달리 자살 유가족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는 ‘위로’와는 거리가 멀다”고 아쉬워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한 해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람은 평균 1만 3000명이다. 13년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위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다. 이에 따라 그들의 가족인 자살 유가족의 수도 매년 8만여명씩 발생한다. 지난 10년간 누적된 인원은 최소 70만명으로 추산된다.

자살 유가족 대부분은 정신건강에 적신호를 보인다. 우울증을 겪는 유가족은 일반인 대비 7배이며 자살 위험도 8.3배나 높다. 그는 “자조모임에 오신 분 가운데 유년 시절 아버지가 자살로 세상을 떠났는데 수십년 뒤 어머니도 스스로 목숨을 끊은 분이 있었다”면서 “자살 유가족은 ‘자살고위험군’에 속하기 때문에 자살 예방 차원에서도 사회적 관심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강씨는 이러한 자살 유가족들과 아픔을 공유하는 구성원이자 전문 상담가로 활동하고 있다. 그는 “우연히 상담 공부를 시작하게 됐지만 이는 아마도 10여년 이상 우울증을 앓다가 극단적인 선택을 한 어머니와도 관계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자신처럼 외부에 아픔을 말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라는 생각에 자살 유가족 자조모임 ‘미고사’에 참여해 자조모임의 리더로서 활동하고 있다. 현재 1400명 이상의 회원이 함께하는 미고사는 매달 1회씩 오프라인 모임을 갖는다. 실제 자살 유가족은 다른 유가족과 함께하는 자조모임에서 가장 많은 도움을 받는다. 강씨는 “유가족의 자발성에 기대기보다는 정부 차원에서 지역별 자살 유가족 자조모임을 작은 단위로 꾸려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자살 사건이 발생한 뒤 유가족이 직면하는 경찰 조사에서부터 사망신고, 장례, 심리상담을 안내해 주는 ‘원스톱’ 시스템 도입도 절실하다고 강씨는 덧붙였다. 그는 “가족을 잃은 슬픔과 자책감, 사회적 비난 등 정신적인 고통이 큰 상태임에도 경찰과 지원센터 간 연계가 미흡해 자살 유가족 스스로 지원책을 찾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이라면서 “사건 발생 이후 심리상담 등 지원을 받지 못할 경우 고통이 장기화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지난 1월 복지부 산하 자살예방정책과를 신설하고 162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인구 10만명당 자살률을 2016년 25.6명에서 2022년 17.0명까지 낮추기 위한 정책을 펼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강씨는 “자살 예방 대책에 자살 유가족에 대한 심리상담 지원예산 확대안 등이 포함됐지만 동시에 자살 유가족을 발굴해 장기적으로 사후관리까지 해 주는 실질적 대책이 필요하다”면서 “자살 유가족이 또 다른 자살 유가족을 돕는 ‘자원봉사자’나 ‘전담지도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글 사진 민나리 기자 mnin1082@seoul.co.kr
2018-03-27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