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호와 조롱…당신도 반복하고 있습니까

환호와 조롱…당신도 반복하고 있습니까

김헌주 기자
김헌주 기자
입력 2018-06-28 22:18
업데이트 2018-06-28 22: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월드컵 응원문화로 본 시민의식

광장에선 경기 뒤 청소·축제 즐기지만
국민청원 등 온라인선 ‘마녀사냥’ 계속
익명공간 속 욕구 분출·자기합리화 ‘과도기 현상’


한국 축구대표팀과 독일 대표팀의 러시아월드컵 조별리그 3차전이 열린 지난 27일 밤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은 축제의 장소였다. 경기가 끝난 뒤 28일 새벽까지 축제를 벌인 시민들은 약속이나 한 듯이 쓰레기를 깨끗이 치웠다. 하지만 같은 시간 인터넷상에는 특정 선수에 대한 ‘마녀사냥’이 계속됐다. 오프라인에서는 승패와 상관없이 축제를 즐기는 모습이었지만, 온라인에서는 줄곧 혐오 발언이 무차별적으로 발산됐다는 게 이번 월드컵 문화의 가장 큰 특징이다.

●“익명성 강할수록 과격한 감정 드러내”

이날 광화문광장에서 만난 직장인 김의현(36)씨는 “광장이 너무 깨끗해서 놀랐다”면서 “시민의식이 놀랍게 좋아져 뿌듯하다”고 말했다. 반면 대학생 김종수(23)씨는 “실력 차이를 누군가의 실수 때문에 16강에 진출하지 못했다고 비난하는 것은 한국인의 안 좋은 습성 같다”며 안타까움을 전했다.

전문가들은 이를 과도기적 현상으로 바라봤다. 대중들 앞에서는 속내를 드러내지 않지만 익명성이 보장된 온라인 공간에서는 가감 없이 자신의 의견을 내뿜는다는 것이다. 전우영 충남대 심리학과 교수는 “사람들은 안 좋은 일이 생기면 책임질 만한 희생양을 찾는다”면서 “익명성이 강화될수록 집단 속에 있을 때와 달리 본능적인 욕구, 감정을 드러내는 경향이 강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온라인 공간은 여러 사람의 의견을 공유하는 장소”라면서 “자신과 비슷한 의견을 가진 사람들이 모이면 더 극단적으로 변한다”고 강조했다. 자신들이 가진 현재의 감정을 강화시킬 수 있는 온라인 공간 속 논리가 나의 잘못된 의견, 감정을 ‘합리화’한다는 것이다.

●“집단심리… 찬반 좇는 이분법 사고”

임명호 단국대 심리학과 교수는 ‘집단 심리’가 작용한 탓이 크다고 지적한다. 일부 선동꾼들이 과격한 글을 남기고 남에 대한 공격을 했을 때 이를 무시하지 못하고 찬성 또는 반대를 해야 한다는 이분법적 사고가 작동하면서 이들을 좇아간다는 설명이다. 임 교수는 “특히 오프라인에서는 약자인 이들이 온라인 선동을 통해 관심받고 싶어 하기 때문에 과격한 표현들을 일삼는다”면서 “자신이 지닌 불안을 남에게 투영시키려는 행위”라고 말했다.

특히 월드컵 기간에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은 특정 선수를 비난하는 창구로 전락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조별리그 3차전 경기가 끝난 뒤에도 ‘일부 선수의 입국을 금지해 달라’, ‘걸어서 오게 해 달라’는 황당한 주장이 실렸다. 노진철 경북대 사회학과 교수는 “상당수가 국민청원이 무엇인지를 모르고 있다”면서 “이 공간에서 사적 감정을 표출하는 것은 시민의식이 높지 않다는 것을 보여 주는 하나의 징표”라고 주장했다. 노 교수는 “이러한 부작용이 심해지면 포퓰리즘으로 전락할 수 있다”며 “정치가 일반 서민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갈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국민청원 기능은 유지해야겠지만 굳이 청와대에서 운영할 필요는 없다는 주장도 덧붙였다.

●황당할수록 주목… 무시도 한 방법

전 교수는 “말도 안 되는 글을 올리는 사람들은 온라인 댓글을 썼을 때보다 더 주목받는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청원을 한다”면서 “누군가 황당한 청원을 올렸을 때 사회가 이를 관심 갖지 않는 것도 방법”이라고 말했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2018-06-29 1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