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분단 전, 남북을 연결하던 주요 육로는?

분단 전, 남북을 연결하던 주요 육로는?

강경민 기자
입력 2018-07-01 10:53
업데이트 2018-07-01 10: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제 때까지 철도 3개, 도로 10개가 남북 연결

경의선 철로. 연합뉴스 자료사진
경의선 철로.
연합뉴스 자료사진
남북이 최근 철도·도로협력 분과회담에서 경의선과 동해선 철도·도로 현대화를 위한 공동조사단 구성에 합의하는 등 남북 연결 육로 구축에 대한 기대가 높다.

남북 분단 전 남북을 연결하던 육로는 어떤 것이 있을까?

1일 경기도 등에 따르면 왕래가 자유로웠던 일제 강점기 때만 해도 남북을 연결하던 철도는 경의선(서울∼신의주), 경원선(서울∼원산), 동해선(양양∼원산) 등 3개가 있었다.

이 중 경의선과 동해선을 연결하기 위한 남북 간 협의가 이뤄지고 있다.

도로의 경우 경의선과 노선이 같은 국도 1호선, 동해선과 노선이 같은 국도 7호선, 경원선과 노선이 같은 국도 3호선 외에 국도 43호선·5호선·31호선 등 국도 6개가 남북을 연결했다.

남북은 이 중 경의선(개성∼평양 구간)과 동해선(고성∼원산 구간) 현대화 사업을 추진한다는 데 합의했다.

국도는 일제 강점기에 ‘신작로’로 불리던 넓은 도로다.

국도 3호선의 경우 서울∼의정부∼연천∼철원∼북철원 등 경의선 노선을 따라 합경북도 초산까지 연결했다.

국도 43호선은 서울∼포천∼철원으로 이어진 뒤 국도 5호선과 만나 평안북도 자성까지 이어졌다.

국도 3호선이나 43호선은 분단 전 서울에서 금강산으로 유람을 떠날 때 지름길이었다.

국도 5호선은 강원 춘천∼화천∼철원을 거쳐 평안북도로 이어진다.

국도 31호선은 강원 양구에서 북한 내금강으로 이어진 뒤 함경북도 신고산까지 연결한다.

국도보다 규모는 작으나 우마차가 다닐 정도의 소로도 4개 정도가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이들 도로는 분단 이후 사용되지 않은 채 60여 년의 시간이 흐르며 현재는 흔적조차 찾기 어렵다.

남북 연결 지방도는 우선 경기 연천군 장남면 원당리에서 북한 장풍군 구화 지역을 거쳐 개성까지 가는 길이 있었다.

또 연천군 군남면 옥계리에서 중면을 거쳐 북한 장풍군 삭녕을 거쳐 황해도 금천까지 가는 길과 연천군 신서면 송현리에서 북철원을 지나 황해도 금천지방까지 가는 길이 남북을 연결했다.

강원지역에서는 현재 지방도 453호선이 인제군 서화면과 북한에 있는 외금강을 연결했다고 한다.

분단 전까지만 해도 남북 주민들의 생활권을 이어주던 길이 남북 화해협력 시대를 맞아 언제 다시 복원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