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급 경쟁률 ‘47.6대 1’ 2014년 이후 최저…올해부터 시험볼 때 화장실 이용 가능

7급 경쟁률 ‘47.6대 1’ 2014년 이후 최저…올해부터 시험볼 때 화장실 이용 가능

민나리 기자
민나리 기자
입력 2018-07-25 15:02
업데이트 2018-07-25 15: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영어능력검정시험 문턱 높아 7급 지원자 감소
지방직·국가직 9급 합격자도 대거 이탈
화장실 이용은 시험 중 1회만 갈 수 있어
2014-2018 국가공무원 7급 공개채용시험 경쟁률
2014-2018 국가공무원 7급 공개채용시험 경쟁률 인사혁신처 제공
2018년 국가공무원 7급 공개채용시험 평균 경쟁률이 2014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국가직·지방직 9급 합격자가 대거 이탈한 결과로 보인다. 올해 국가직 7급 공채에선 처음으로 시험 중 화장실 이용이 가능해 진다.

25일 인사혁신처는 지난 14~17일까지 국가공무원 7급 공채 응시원서를 접수한 결과 770명 선발에 총 3만 6662명이 지원해 평균 47.6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2014년 83.9대 1이던 평균 경쟁률은 2015년 81.9대 1, 2016년 76.7대 1로 지속적으로 하락했다. 지난해 7급 공채 영어 시험이 토익 등 영어능력검정시험으로 대체되면서 경쟁률이 66.2대 1로 대폭 떨어졌으나 올해는 그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인사처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영어능력검정시험의 문턱이 높았다고 봤다. 7급 공채는 토익 700점 이상 또는 텝스 624점(2018년 5월 12일 이전)·340점(2018년 5월 12일 이후), 토플(IBT) 71점 이상을 받아야 한다. 외무영사직은 토익 790, 텝스 700점(2018년 5월 12일 이전)·385점(2018년 5월 12일 이후), 토플(IBT) 86점 이상으로 다른 직렬보다 기준이 높다.

또 올해는 예년과 달리 국가직·지방직 9급 공채 합격자 발표가 7급 원서접수 이전에 진행돼 9급과 7급을 중복 지원하는 인원이 대폭 줄었다. 안현식 인재채용국 과장은 “올해는 국가직과 지방직 9급 합격자 2만여명 정도가 대부분 발표된 후여서 그만큼 7급 응시자가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평균 경쟁률은 떨어졌지만 행정직군의 행정직(인사조직)은 4명 모집에 1457명이 몰려 364.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기술직군에선 농업직(일반농업)이 7명 모집에 479명이 지원해 68.4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지원자 평균 연령은 29.5세로 지난해(29.9세)와 비슷했다.

국가직 7급 공채에 처음 시행되는 화장실 이용은 한 사람 당 오전 10시 30분~11시 40분 사이 한 번만 이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시험시간은 오전 10시부터 12시까지지만 앞뒤로 각각 30분, 20분은 시험 진행을 원활히 하고자 제외했다. 별도의 화장실 전담 파견관이 화장실마다 배치되며, 복도관리관이 화장실까지 동행한다.

민나리 기자 mnin1082@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