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희연 2기’ 초반부터 학생·학부모와 잇단 ‘불통’

‘조희연 2기’ 초반부터 학생·학부모와 잇단 ‘불통’

강경민 기자
입력 2018-09-23 10:25
업데이트 2018-09-23 10: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청원엔 답변 대신 지적부터…특수학교합의·유치원붕괴 때 학부모와 소통안돼

이미지 확대
조희연 서울시교육감. 서울시교육청 제공
조희연 서울시교육감.
서울시교육청 제공
교육감 직선제 도입 후 서울시교육감으로는 처음 재선에 성공한 조희연 교육감이 두 번째 임기 초반부터 학생·학부모와 소통에 문제를 겪고 있다.

교육계에서는 조 교육감이 성과에 집착해 조급해진 것 아니냐는 말이 나온다.

23일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교육청 청원 게시판에 21일 오전까지 161개 청원이 올라왔다.

이 중 100명 이상 동의를 얻은 청원은 8개에 그쳤다. 그 중에서도 교육감 답변기준(학생청원은 30일 내 1천명 이상, 시민청원은 1만명 이상 동의)을 넘긴 것은 자율형사립고(자사고)인 은평구 대성고등학교를 일반고로 전환하기로 한 과정이 일방적이었다는 학생청원 하나 뿐이다.

많은 이들은 교육청 청원 게시판이 이처럼 사실상 ‘개점휴업’에 들어간 이유로 청원을 대하는 조 교육감의 태도를 꼽는다.

그는 1천여명이 동의한 대성고 학생청원에 답변하며 “행정에 이의를 제기하는 내용으로 청원으로 수용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청원이 자신이 생각한 취지나 형태가 아니었다고 지적부터 한 것을 두고 “이해할 수 없다”는 비판이 쏟아졌다. 교육청이 벤치마킹한 청와대 청원 게시판에는 잘못된 행정을 바로잡아달라는 청원이 셀 수 없이 올라온다.

조 교육감은 청원의 핵심인 ‘일반고 전환 추진과정에서 학생 의견 수렴 부족’ 문제에 대해서는 “학교가 나름대로 이해를 구하고자 노력했으나 공감을 얻지 못한 것 같아 안타깝다”고만 했다.

이런 답변을 받은 대성고 학생들은 “크게 실망했다”면서 “상식과 학생 인권 관점에서 답해달라”고 다시 청원을 올렸다.

조 교육감은 또 이달 4일 강서 장애인 특수학교 설립에 반대해온 김성태 자유한국당 의원, 지역주민과 ‘특수학교 설립 합의’를 했지만 정작 ‘무릎 호소’로 학교설립을 끌어낸 장애학생 부모에게는 이 사실을 알리지 않았다.

당시 합의는 ‘김 의원과 주민은 특수학교 설립에 협조하고 교육청은 인근 학교 통폐합으로 부지가 생기면 지역 숙원사업인 국립한방병원 건립에 최우선으로 협조한다’는 것이 골자였다.

뒤늦게 합의 사실을 알게 된 장애학생 부모들은 울분을 토했다. 교육감이 특수학교 설립 대가를 약속함으로써 특수학교가 보상이 필요할 정도의 기피시설처럼 여겨지게 했다는 것이다.

조 교육감은 장애학생 부모와 사전논의가 없었던 것은 문제라는 지적에 “실무진이 소통하는 줄 알았다”며 책임을 회피하는 식의 답변을 내놨다.

그러나 당시 합의는 조 교육감 지시로 추진됐다. 장애학생 부모와 소통이 이뤄지는지 먼저 챙겨야 할 사람도 당연히 교육감이었다.

조 교육감의 ‘불통’은 인근 공사장 옹벽이 무너져 붕괴 위험에 놓인 서울상도유치원 사태에서도 계속됐다.

당시 조 교육감은 14일 교육청을 항의 방문한 학부모들에게 “제가 (유치원 쪽으로) 만나러 가려 했는데 (학부모들이) 오셨다”고 말했다가 혼쭐이 났다.

애초 조 교육감은 이날 오후 5시 30분께 유치원을 방문하려 했다. 그러나 이 시간은 아이들이 집에 돌아온 후라 학부모들이 집을 비우기가 여의치 않다는 점을 고려하지 못한 것이다. 학부모들은 교육청이 교육감의 유치원 방문시간을 전날 일방적으로 통보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또 김원찬 부교육감은 서울상도유치원 사고와 관련한 중간점검상황 발표 때 “휴업을 결정할 때 학부모에게 사전 통보하거나 학부모들과 논의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행정절차를 설명한 것이지만 자녀를 유치원에 맡길 수밖에 없는 맞벌이 부모의 심정은 전혀 헤아리지 못한 발언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한 교육계 인사는 “재선에 성공했다는 자신감과 이제 성과를 내야 한다는 조급함이 합쳐지면서 조 교육감이 소통에 다소 소홀해진 것 같다”면서 “스스로 소통을 강조해온 만큼 앞으로는 교육현장 목소리를 더 귀담아듣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