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기부 동기’ 변했다...‘동점심→사회 책임감’

시민 ‘기부 동기’ 변했다...‘동점심→사회 책임감’

이하영 기자
입력 2018-10-12 13:48
업데이트 2018-10-12 13: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로 ‘동정심’ 때문에 모금하던 시민의 기부 동기가 최근 ‘사회적 책임감’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기부에 참여한 시민의 수도 전년 대비 10%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확인됐다.
아름다운 재단 기부문화연구소는 12일 오후 서울 마포구 청년문화공간 JU 니꼴라오홀에서 개최한 ‘제18회 기부문화심포지엄 기빙코리아 2018’에서 이런 내용의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정익중 이화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최근 시민들의 기부 동기가 ‘동정심’에서 ‘사회적 책임감’으로 변화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이미지 확대
과거 동점심 때문에 기부했던 시민들이 최근 사회적 책임감 때문에 기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의 기부 동기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  아름다운재단 제공
과거 동점심 때문에 기부했던 시민들이 최근 사회적 책임감 때문에 기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의 기부 동기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
아름다운재단 제공
올해 진행한 ‘시민들의 기부 동기’ 조사에서 지난해 3순위였던 ‘시민으로서 해야 할 책임이라고 생각해서’가 1위를 차지했다. 2000년 기부조사가 이루어진 이후 ‘불쌍한 사람들을 위해서’라는 답변이 줄곧 1위를 차지했다가 올해 처음 바뀐 것이다.

기부 참여자의 수는 늘어났다. 지난해 국내 평균 기부 참여율은 56.1%로 2016년 45.6%에 비해 약 10.5%포인트 증가했다. 하지만 기부자 평균 기부금액은 2013년 32.1만 원, 2015년 37.3만 원, 2017년 24.9만 원으로 전년보다 12.4만 원이 감소했다.

정기기부자의 수는 거의 변동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일시기부자의 증가가 평균 기부 참여율을 높인 것으로 분석됐다.
이미지 확대
모금단체에 대한 일반 시민과 모금실무자 간의 인식 차를 보여주는 그래프.  아름다운재단 제공
모금단체에 대한 일반 시민과 모금실무자 간의 인식 차를 보여주는 그래프.
아름다운재단 제공
모금단체에 대한 시민과 모금단체 실무자 간의 신뢰도 차이는 큰 것으로 드러났다. 노연희 가톨릭대 사회복지학과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시민들은 ‘모금단체가 정부/공공기관보다 더 믿을 만하다’는 질문에 ‘그렇다’는 대답이 겨우 26%에 불과했다. ‘그렇지 않다’는 대답은 74%에 달했다.

하지만 모금 담당자들은 61.9%가 ‘정부/공공기관보다 모금단체가 더 믿을 만하다’고 답했다.

노연희 가톨릭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비영리 조직이 효과적인 모금활동을 하려면 일반 시민들이 기부를 대하는 태도와 사회 참여에 대한 인식 변화에 대해 자세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하영 기자 hiyoung@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