캡슐형 내시경 기술 개발…식도까지 촬영 가능

캡슐형 내시경 기술 개발…식도까지 촬영 가능

강경민 기자
입력 2019-03-14 09:26
업데이트 2019-03-14 10: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바디 인체 통신 기반…“몸 밖에서 위치 제어”

이미지 확대
‘작지만 똘똘한 캡슐 내시경’
‘작지만 똘똘한 캡슐 내시경’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국내 의료기기 업체와 함께 개발해 14일 공개한 캡슐 내시경. 가로 1㎝?세로 3.1㎝의 이 내시경은 초당 24장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어서 식도까지 자세히 살필 수 있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2019.3.14 ETRI 제공=연합뉴스
국내 연구진이 고속 촬영기법에 인체 통신 기술을 적용한 내시경 기술을 구현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의료기기 업체와 함께 식도와 위를 효과적으로 살필 수 있는 캡슐 내시경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내시경에 쓰이는 캡슐 크기는 가로 1㎝·세로 3.1㎝다.

이 캡슐은 송신기 역할을 한다.

안에는 발광다이오드(LED) 램프, 두 개의 전·후방 카메라, 코인형 배터리, 자석 등이 들어 있다.

이 내시경은 초당 24장의 사진을 찍는다.

고속 데이터 통신 기법 덕분인데, 식도처럼 캡슐이 빠르게 지나가는 구간도 자세히 관찰할 수 있다고 ETRI 연구진은 설명했다.

캡슐 촬영본은 몸에 붙이는 전극 또는 벨트 타입 수신부를 통해 전송돼 몸 밖에 있는 수신기에 저장된다.

해상도(320×320dpi)와 배터리 지속 시간(2시간)은 수준급이다.

의사가 수신기를 보면서 자석이 내장된 캡슐을 몸 밖에서 제어할 수 있는 점도 특징이다.

자유롭게 캡슐 자세를 바꾸거나 위벽에 캡슐을 머무르게 만들 수 있다는 설명이다.

사람의 몸을 매질로 데이터를 보내는 인바디 인체 통신 기술이 들어갔다.

교차 감염 우려, 복부 불편감, 구역질 유발 등 기존 유선 내시경 단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연구진은 보고 있다.

ETRI SoC설계연구그룹 박형일 과제책임자는 “식도와 위장 부분에 대해 검사를 더 정확하고 편안하게 받을 수 있는 길이 열린 셈”이라며 “위치 제어와 데이터 전송 등 측면에서 경쟁력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진은 이 상부위장관용 캡슐 내시경을 중국과 유럽 등지에 수출할 계획이다.

아울러 식도, 위, 십이지장, 소장, 대장 등 전체 소화기관을 검진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다.

양방향 통신 캡슐 내시경을 만들어 촬영·동작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인트로메딕 이병석 연구소장은 “내년께 시스템 검증과 품목 허가용 인증시험을 마무리하면 사업화에 들어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가 코리아 사업의 하나로 진행했다.

인바디 인체 통신 기술 관련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급 논문 5편과 국내·외 특허 17건 성과도 따라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