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 스트레스로 극단 선택… 20대 11%가 고위험군

취업 스트레스로 극단 선택… 20대 11%가 고위험군

유대근 기자
입력 2019-03-27 22:32
업데이트 2019-03-28 00: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청소년정책硏, 20대 1312명 조사

7%, 우울 증상 심해 약물치료 등 필요
편견·왜곡된 시선이 정신 위험 내몰아


‘단군 이래 최고의 스펙을 갖췄다’고 평가받으면서도 취업 등을 두고 무한경쟁을 벌여야 하는 우리 사회 20대 중 다수가 우울·불안 증상을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동세대 안에서도 미취업자 등 열악한 상황에 놓인 이들의 심리 상태가 취약했다. 경쟁의 좁은 문을 뚫지 못한 책임을 청년 세대에 돌리는 사회 분위기가 이들을 더 힘들게 했다.

27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대 청년 심리·정서 문제 및 대응 방안 연구’에 따르면 20대 청년 중 약물치료 등 능동적인 치료가 필요한 심한 우울 증상을 가진 비율은 전체의 7.0%로 조사됐다. 또 심한 불안 증상을 가진 비율은 8.6%, 최근 6개월간 극단적 선택을 생각한 비율은 22.9%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7~8월 만 20~29세 대학·대학원 재학생, 미취업자, 취업자 등 총 1312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같은 또래라도 구직 여부나 일자리의 형태에 따라 심리 건강 상태가 달라졌다. 특히 일자리를 찾고 있지만 아직 구하지 못한 청년 중 심한 우울 증상을 보인 비율은 12.2%였고 비정규직 청년 중에는 8.9%가 같은 증상을 호소했다. 반면 정규직에 취업한 청년은 6.5%만 심한 우울증상을 보였다.

최근 6개월 내 극단적 선택을 생각한 적이 있다고 답한 비율도 ▲구직 미취업 집단 29.6% ▲비구직 미취업 집단 28.8% ▲비정규직 취업 23.6% ▲정규직 취업 21.3% 순으로 차이를 보였다.

우울·불안 증상 수준과 최근 6개월 내 극단적 선택 생각 경험 비율을 통합해 심리·정서 문제 위험 수준을 4단계로 분류한 결과 조사 대상의 11.1%가 ‘고위험군’이었고 ‘중위험군’ 20.1%, 관찰군 21.0%였다.

연구를 진행한 김지경 연구위원은 “우리 사회가 편견과 왜곡된 시선에서 벗어나야 청년 심리·정서 문제의 해결방법이 보일 수 있다”고 말했다.

예컨대 ▲20대 젊은이의 심리·정서 문제는 개인 스스로 책임질 문제라는 ‘자기 책임의 내면화’ ▲취업이 되면 모든 게 괜찮아진다는 ‘취업 만능설’ ▲기성세대들이 ‘우리 때는 더 힘들었다’고 말하는 ‘시대 비교설’ ▲심리·정서 문제 발생 원인을 개인 노력 부족으로 돌리는 ‘노력 지상주의설’ 등이 벗어나야 할 편견으로 꼽혔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2019-03-28 1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