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벌이부부 ‘주중’ 집안일 아내가 7.4배 더해

맞벌이부부 ‘주중’ 집안일 아내가 7.4배 더해

강주리 기자
강주리 기자
입력 2019-04-10 07:58
업데이트 2019-04-14 11: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주말을 맞아 자신의 ‘몫’으로 할당된 집안 청소를 하는 맞벌이 남성. 맞벌남과 외벌남이 가사에 투자하는 시간은 1시간 남짓으로 별 차이가 없다. 이호정 기자 hojeong@seoul.co.kr
주말을 맞아 자신의 ‘몫’으로 할당된 집안 청소를 하는 맞벌이 남성. 맞벌남과 외벌남이 가사에 투자하는 시간은 1시간 남짓으로 별 차이가 없다.
이호정 기자 hojeong@seoul.co.kr
맞벌이 부부인 아내가 남편보다 집안일을 7.4배 더하고 육아시간은 3.5배가 많이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10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조성호·김지원 연구원의 ‘일·생활 균형을 위한 부부의 시간 배분과 정책과제’ 내 통계청의 2014년 생활시간 조사 자료에서 우리나라 부부들의 시간 사용량을 분석한 결과다.

맞벌이 부부의 주중 노동시간은 남편은 546.8분, 아내는 412.4분으로 남편이 아내보다 1.3배 정도 길었지만, 주중 가사시간은 남편은 17.4분, 아내는 129.5분으로 아내가 남편보다 7.4배 길었다.

주중 육아시간도 아내가 52.2분을 할애한 데 반해 남편 14.9분으로 짧아 아내가 남편보다 3.5배 많았다.

맞벌이 부부의 주말 시간 배분을 살펴보면 가사시간은 남편 41.0분, 아내 176.4분으로 아내가 남편보다 4.3배(135.4분) 길었다.

주말 육아시간도 남편 28.8분, 아내 48.6분으로 아내가 남편보다 19.8분(1.7배) 많았고, 주말 여가시간은 남편 410.4분, 아내 362.4분으로 아내가 남편보다 48분(1.1배) 짧았다.

한편, 남편만 직장에서 일하는 남성 외벌이 부부의 주중 시간 배분을 보면 주중 가사시간은 아내 238.9분이었지만, 남편은 11.5분에 그쳤다. 주중 육아시간도 아내는 152.2분을 아이 돌보는데 보냈으나, 남편은 18.7분에 불과했다. 반면 주중 여가시간은 남편 207.7분, 아내 356.1분으로 아내가 남편보다 길었다.

남성 외벌이 부부에서 아내가 직장 일을 하지 않는 이유는 1위가 가사, 2위가 자녀 양육인 것으로 나왔다.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