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수기 대비 비상대응체계 가동…대상지점 늘린다

홍수기 대비 비상대응체계 가동…대상지점 늘린다

신형철 기자
입력 2019-05-09 14:12
업데이트 2019-05-09 14: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홍수상황 비상대응체계가 본격 가동된다. 환경부는 태풍, 집중호우 등 여름철 홍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24시간 비상대응체계를 15일부터 운영한다고 9일 밝혔다.
홍수가 난 모습
홍수가 난 모습 연합뉴스
우선, 환경부는 태풍이 발생하거나 호우경보가 발효되면 정부세종청사에 환경부 장관이 지휘하는 홍수대책종합상황실을 운영해 비상상황에 대응할 계획이다. 홍수특보는 하천의 수위가 계획홍수량의 50% 초과될 것으로 예상되면 주의보가, 70% 초과될 것으로 예상되면 경보가 발령된다.

환경부는 지난해보다 더 적극적인 비상대응체계를 운영할 방침이다. 한강대교 등 국가·지방하천 주요지점에 대해 발령하는 홍수특보 대상지점을 지난해 55곳에서 60곳으로 늘린다. 지난해까지 10분이었던 하천홍수정보제공 주기도 1분으로 단축해 운영한다. 또, 고수부지 등 침수 취약지점에 대해서는 지난해보다 70곳 늘어난 305곳을 지정해 실시간으로 위험단계별 하천 홍수정보를 제공한다.

댐 상·하류의 홍수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발전댐-다목적댐 연계 운영도 시행한다. 홍수기에 화천댐 등 발전댐의 수위를 기존보다 낮게 유지해 홍수조절량을 추가로 확보하고 홍수통제소,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수력원자력 등 관계기관이 참여하는 합동 비상근무 상시대응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한편, 환경부는 9일 국토교통부와 광역자치단체, 홍수통제소 관계자가 참여하는 ‘홍수피해 방지대책 점검회의’를 정부세종청사에서 개최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각 기관별 홍수피해 방지대책 추진실적과 향후계획을 공유하고 개선방안을 논의했다. 환경부는 하천관리를 담당하는 국토부와 홍수대책종합상황실을 공동 운영하는 등 긴밀한 정보공유와 협조체계를 유지할 계획이다.

신형철 기자 hsdori@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