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우 개선 부족”… 롯데택배 노동자 250명 파업

“처우 개선 부족”… 롯데택배 노동자 250명 파업

김주연 기자
김주연 기자
입력 2020-10-27 22:26
업데이트 2020-10-28 01: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물량 늘어 돈 벌고도 수수료 더 낮춰
분류업무 지원 인력비용도 절반 전가

CJ대한통운·한진택배·롯데글로벌로지스 등 주요 택배사들이 분류인력 투입이나 심야 배송 중단 등 과로사 방지책을 발표했지만, 택배 노동자들은 대책이 충분하지 않다고 입을 모은다. 27일 롯데택배 노동자 약 250명은 처우 개선을 요구하며 파업에 들어갔다.

이날 전국택배연대노동조합은 서울 송파구 서울복합물류센터에서 “코로나19로 택배 물량이 늘어나 롯데택배는 엄청난 영업이익을 내고 있지만 택배 노동자의 처우는 악화되고 있다”면서 “서울, 경기, 광주, 울산, 경남 등에서 약 250명의 노동자가 파업에 동참한다”고 밝혔다. 택배연대노조에 따르면 서울 송파 지역에서 롯데택배 노동자에게 주어지는 수수료는 지난해 880원에서 825원으로 떨어졌다. 택배연대노조는 “롯데택배가 업계에서 유일하게 노동자에게 전가하는 월 10만~20만원의 상하차 비용도 언제 폐지할지 명확하게 밝히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롯데택배는 “코로나19 등으로 물량이 늘면서 배송 물량이 적은 일부 대리점에 지급하던 지원금을 일부 조정했다”면서 “지원금을 깎은 것을 수수료 삭감이라고 표현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노동자들은 택배사들이 약속한 분류업무 지원인력도 업무 부담을 덜기에는 부족한 규모라고 지적한다. 한진택배와 롯데택배는 분류인력을 각 1000명 투입하기로 했다. 이는 택배기사 8~9명당 1명이 분류업무를 지원하는 수준으로, 노조가 요구하던 택배 노동자 5명당 지원인력 1명에 비해 적다.

분류인력 투입 비용을 누가 부담하느냐도 논란거리다. 택배연대노조는 “CJ대한통운은 회사가 50%를 부담할 테니 나머지는 대리점과 기사가 부담해야 한다고 통보했다”면서 “롯데택배는 비용을 누가 부담할지 언급조차 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김주연 기자 justina@seoul.co.kr

2020-10-28 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