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자녀돌봄 전업주부 집중...3시간 32분 증가

코로나19로 자녀돌봄 전업주부 집중...3시간 32분 증가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0-11-22 17:35
업데이트 2020-11-22 17: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연합뉴스
연합뉴스
코로나19 이후 전업주부의 자녀 돌봄 시간이 3시간 32분 급증한 것으로 조사됐다. 등교 제한으로 자녀가 집에 있는 시간이 늘면서 돌봄 부담이 전업주부에게 고스란히 쏠린 것이다.

22일 한국노동연구원 ‘노동리뷰’ 11월호에 실린 은기수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의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사태 전만 해도 하루 평균 9시간 6분이던 전업주부의 돌봄 시간은 코로나19 사태 기간 12시간 38분으로 늘었다. 자는 시간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자녀 돌봄에 매달려 있는 셈이다. 이번 조사는 서울대 ‘국제이주와 포용사회센터’ 의뢰로 한국갤럽이 지난 6월 12일~7월 6일 만 12세 이하 자녀를 둔 기혼남녀 1252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부부가 함께 직장에 다니는 맞벌이 가구도 주로 여성이 돌봄 부담을 졌다. 맞벌이 가구의 취업 여성은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자녀 돌봄 시간이 하루 평균 5시간 3분에서 6시간 47분으로 1시간 44분 늘었다. 반면 취업 남성은 3시간 1분에서 3시간 30분으로 29분 증가하는 데 그쳤다.

코로나19 사태 기간 자녀와 함께 보내는 시간을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맞벌이 가구의 취업 여성은 80.8%가 긍정적으로 답했다. 반면 전업주부는 긍정적 답변이 65.8%에 그쳤다. 특히 전업주부는 코로나19 사태 기간 자녀와 떨어져 혼자 있는 시간이 절실히 필요했다는 응답률이 76.4%에 달해 맞벌이 취업 남성·여성, 홑벌이 남성·여성 등 4개 집단에서 가장 높았다.

은 교수는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자녀 돌봄 부담이 객관적으로도, 주관적으로도 전업주부에 집중되고 있다”며 “자녀 돌봄을 거의 전담하는 전업주부의 무급 자녀 돌봄과 그 부담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약하다”고 지적했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