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쯤 꺾이나” 신규확진 689명…3차 대유행 후 최다(종합)

“언제쯤 꺾이나” 신규확진 689명…3차 대유행 후 최다(종합)

최선을 기자
입력 2020-12-11 10:22
업데이트 2020-12-11 1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오늘도 고된 하루
오늘도 고된 하루 10일 오후 울산시 북구 한 직업계고등학교 운동장에 설치된 선별진료소에서 한 의료진이 휴식을 취하고 있다. 2020.12.10 연합뉴스
사흘째 700명 육박…역대 2번째 규모
장소 가리지 않고 전국서 집단발병 잇따라
지역 673명·해외 16명…수도권 또 500명대
사망자 8명 늘어 총 572명…치명률 1.40%


국내 코로나19 ‘3차 대유행’의 확산세가 꺾일 기미를 보이지 않으면서 11일 신규 확진자 수도 600명대 후반을 나타냈다. 전날보다 소폭 증가하면서 사흘째 700명 선에 근접했다.

이런 증가세는 요양원, 종교시설, 학원, 음식점, 가족·지인모임, 군부대 등 장소를 가리지 않고 전국 곳곳에서 집단발병이 잇따르는 데 따른 것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689명 늘어 누적 4만 786명이라고 밝혔다. 전날(682명)보다 7명 늘었다.

689명은 대구·경북 중심의 ‘1차 대유행’ 정점(2월 29일, 909명) 이후 286일 만에 최다 기록이자 역대 2번째 규모다. ‘3차 대유행’이 본격화한 이후로도 가장 많은 숫자다.

지난달 초순까지만 해도 100명 안팎을 유지했던 신규 확진자는 계단식 증가 추세를 보이며 한달 새 700명에 육박하는 상황까지 다다랐다.

앞서 지난달 28일부터 이날까지 2주간 신규 확진자는 일별로 503명→450명→438명→451명→511명→540명→628명→577명→631명→615명→592명→670명→682명→689명 등으로, 최근 들어 증가세가 더 가팔라지고 있다. 100명 이상 세 자릿수는 지난달 8일부터 이날까지 34일째 계속되고 있다.

이날 신규 확진자의 감염경로를 보면 지역발생이 673명, 해외유입이 16명이다. 지역발생 확진자는 전날(646명)보다 27명 늘어나며 3월 2일(684명) 이후 가장 많았다. 지역발생 확진자는 지난 3일부터 이날까지 9일째 500~600명대를 오르내리고 있다.
이미지 확대
여전한 코로나19 확산세
여전한 코로나19 확산세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3차 대유행’의 확산세가 지속하는 가운데 10일 서울 은평구 서울시립서북병원 선별진료소에서 시민들이 코로나19 검사를 기다리고 있다. 2020.12.10 연합뉴스
확진자가 나온 지역을 보면 서울 250명, 경기 225명, 인천 37명 등 수도권만 512명이다. 수도권 지역발생 확진자는 전날(489명)보다 23명 늘어 또다시 500명 선을 넘었다. 특히 경기는 이달 초부터 연일 최다 기록을 경신하고 있다.

비수도권의 경우 울산 47명, 부산 26명, 충북 20명, 경남 12명, 강원 11명, 충남 9명, 대전 8명, 전북 7명, 대구 6명, 제주 5명, 전남 4명, 광주·경북 각 3명이다.

주요 감염사례를 보면 경기 수원시의 한 요양원에서 21명의 확진자가 나왔는데 이는 서울 종로구 음식점 ‘파고다타운’-노래교실 사례에서 파생된 것이다. ‘파고다타운’-노래교실 관련 누적 확진자도 204명으로 늘었다. 또 경기 안양시 소재 종교시설(누적 17명), 경기 화성시 학원(12명), 인천 남동구 군부대(11명) 등과 관련해서도 확진자가 속출했다.

한편 사망자는 전날보다 8명 늘어 누적 572명이 됐다. 국내 평균 치명률은 1.40%다. 상태가 악화한 위중증 환자는 전날보다 3명 줄어든 169명이다.
이미지 확대
김장모임 감염이 학교로
김장모임 감염이 학교로 10일 오후 광주 광산구 한 고등학교에 설치된 선별진료소에서 학생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검사를 받고 있다. 이 학교에서 한 교사가 가족의 김장모임에 참석한 뒤 확진 판정을 받았다. 2020.12.10 연합뉴스
최선을 기자 csunel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