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백신 접종 고3 이상반응 발생 살펴보니

백신 접종 고3 이상반응 발생 살펴보니

박찬구 기자
입력 2021-10-02 07:00
업데이트 2021-10-02 07: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질병청 보고서, 이상반응 신고율 0.45%
2030 연령층과 비슷한 수준
접종 부위 통증, 피로감, 두통 등 일반 이상반응 대부분
심근염 심낭염은 15건 확인, 사망 사례는 없어

이미지 확대
전 국민의 50%가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완료한 것으로 발표된 1일 서울 양천구 홍익병원에서 한 시민이 화이자 백신을 접종받고 있다. 2021.10.1 연합뉴스
전 국민의 50%가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완료한 것으로 발표된 1일 서울 양천구 홍익병원에서 한 시민이 화이자 백신을 접종받고 있다.
2021.10.1 연합뉴스
이달 시행되는 12~17세, 277만명의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앞두고 학부모들의 근심이 커지고 있다. 학교에서의 집단 감염 못지 않게 백신 부작용도 우려되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백신 접종으로 얻을 수 있는 이득이 부작용 우려보다 크다면서도 백신으로 인한 위험 또한 존재한다고 말한다. 다만 우리나라 고3 접종 효과와 이상반응 통계를 보면 각종 이상반응이나 심낭염, 심근염이 중증으로 진행된 사례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질병관리청이 발간한 ‘주간 건강과 질병’에 실린 ‘고3학생의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발생 현황’ 보고서를 보면 고3학생들의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 수준은 20~30대 연령층과 비슷했다.

지난 7월 19일부터 9월 25일까지 화이자 백신으로 예방접종을 받은 고3 학생은 모두 44만4313명이며, 이 가운데 99.5%인 44만2025명이 2차 접종까지 완료했다. 이상반응은 3981건이 신고돼 전체 접종건수 대비 신고율은 0.45%였다. 1차 접종(0.29%)때 보다는 2차 접종 이상반응 신고율이 0.61%로 높았다.

보고서를 작성한 코로나19예방접종대응추진단 안전접종관리반은 “이는 20~30대 연령층의 화이자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 수준인 0.45%~0.48%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이상반응 또한 다른 연령층과 마찬가지로 접종 부위 통증, 근육통, 피로감, 두통 등의 일반 이상반응이 97.1%~97.9%로 대부분이었다.

중대한 이상반응으로는 심근염·심낭염이 26건 신고됐다. 그러나 정확한 진단 결과 이 가운데 15건만이 심근염·심낭염 사례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이 가운데 외래 치료가 5건, 입원 치료를 받은 사례가 10건이었고 모두 퇴원했다. 백신 접종 후 중증알레르기 반응인 아나필락시스는 17건이 신고됐다. 하지만 역시 추가 진단을 한 결과 이중 9건만 아나필락시스로 확인됐다. 무엇보다 고3 학생 중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사망 사례는 없었다.

외국의 사례도 크게 다르지 않다. 미국은 지난해 12월 14일부터 올해 7월 16일까지 12~17세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예방접종을 했는데, 접종 후 1000명 당 1명 꼴로 이상반응을 신고했다. 어지러움, 메스꺼움, 두통, 발열 등 일반 이상반응이 90.7%로 대부분이었다. 심근염으로 인한 사망자도 보고되지 않았다.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접종 후 드물게 나타나는 심근염과 심낭염은 조기에 인지하고 치료받으면 대부분 완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앞서 열린 전문가 브리핑에서 최은화 예방접종전문위원회 위원장(서울대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은 “소아·청소년의 코로나19 위험은 전반적으로 낮지만, 위험이 없는 것은 아니다. 장기적인 안전성 우려도 있다”면서도 “기저질환이 있는 고위험 소아·청소년은 코로나19로 인한 중증 진행, 사망 위험이 크기 때문에 백신으로 얻을 수 있는 개인적인 이득이 높을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 박찬구 선임기자 ckpark@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