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1.5kg 닭, 소비자가 원하는 크기”…대한양계협회, 황교익에 분노

“1.5kg 닭, 소비자가 원하는 크기”…대한양계협회, 황교익에 분노

김채현 기자
김채현 기자
입력 2021-11-23 19:56
업데이트 2021-11-23 19: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맛 칼럼니스트 황교익.  연합뉴스
맛 칼럼니스트 황교익.
연합뉴스
“한국 치킨, 전세계에서 가장 맛없다”
황교익 주장에…대한양계협회, 성명서


맛 칼럼니스트 황교익씨가 연일 ‘한국 치킨’에 대한 비판을 쏟아난 가운데, 닭고기 관련 업계 종사자들이 단체로 반발하고 나섰다.

사단법인 대한양계협회는 23일 ‘맛칼럼니스트 황교익의 치킨 폄훼 내용과 관련하여’라는 제목의 성명서를 내고 “우리나라 치킨에 대한 온갖 비방으로 관련 산업에 종사하는 사람의 가슴에 대못을 박음과 동시에, 치킨 소비 감소를 유도한 결과가 어떠할지는 충분히 예상할 거라 생각한다”며 경고하고 나섰다.

협회는 ‘부자는 치킨을 안 먹는다’, ‘음식에 계급이 있다’ 등 황 씨의 발언을 언급하며 “어떤 근거로 이런 말을 하는지 이유나 알고 싶다”며 “이유 없이 건드리고 반응이 없으면 물어 뜯는 추악함이 당신의 천성인지는 모르겠다. 지극히 개인적인 사상으로 양극화를 부추기고 있다”고 울분을 토했다.

이어 “황 씨가 작은 닭이 맛이 없다고 비아냥 거리는데 (해당 크기는) 소비자가 원하는 크기”라며 “대한민국에서 소비자가 원하는 한 1.5kg 닭은 영원히 이어진다”고도 했다.
맛 칼럼니스트 황교익. 유튜브 채널 ‘황교익 TV’ 캡처
맛 칼럼니스트 황교익. 유튜브 채널 ‘황교익 TV’ 캡처
“치킨에 대한 비방, 관련 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 가슴에 대못”
협회는 “우리나라 2조원이 넘는 닭고기를 생산하는 농가들이 지켜보고 있다”며 “최소한의 양심이 있다면 닭고기 관련 종사자들과 단순무지의 개인적 견해를 사실인 양 퍼뜨려 혼선을 빚게 한 소비자에게 머리 숙여 사죄하라”고 사과를 촉구했다.

앞서 황씨는 21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한국 육계가 전세계에서 거의 유일하게 작고 그래서 맛이 없는 것은 ‘객관적 사실’이다. 이 객관적 사실은 누가 말하든지 간에 객관적 사실이다”고 강조했다.

이어 황씨는 “모르면 공부를 하고, 공부하기 싫으면 입을 닫고 있어야 정상적인 인간이라 할 수 있다. 여기 자료가 있으니 눈이 있으면 보시오”라며 국립축산과학원의 자료까지 첨부했다.

그러면서 “한국 닭이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1.5kg의 작은 닭이고 그래서 맛이 없고 비싸다는 국립축산과학원의 자료를 끊임없이 올려주지만 이를 보도하는 언론은 없다”고 강조했다.
치킨 이미지(위 기사와 관련 없음). 픽사베이
치킨 이미지(위 기사와 관련 없음). 픽사베이
“부자는 치킨 안 먹는다…라이더들의 음식” 치킨 계급론 주장
지난 19일에도 황씨는 “치킨은 서민·노동자 음식”이라며 ‘치킨 계급론’을 주장한 바 있다.

그는 “한국에 맛있는 거 참 많다. 외국에서 맛있다 하는 거 다 들여와서 먹고 있다. 돈만 있으면 전 세계에서 톱으로 맛있는 거 먹을 수 있다”면서 “부자는 치킨 안 먹는다”고 주장했다.

또 황씨는 “돈이 있고 없고에 따라 먹는 게 다르다. 직업 탓에 내가 반평생 동안 목도한 일”이라며 “치킨은 대한민국 서민 음식이다. 노동자 음식이다. 청소년 음식이다. 알바 음식이다. 라이더 음식”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외국인이 한국 치킨을 특별나게 여기는 것은 과도한 경쟁 때문에 고도로 발달한 양념법뿐”이라며 “그 양념 안의 닭은 전 세계에서 거의 유일하게 작다. 그래서 맛없고 비싸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나는 맛 칼럼니스트로서 우리 노동자와 청소년과 알바와 라이더의 치킨이 맛있고 싸지길 진심으로 바란다”고 전했다.
김채현 기자 ch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 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