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친 물가에 ‘최후 보루’ 학원도 줄였다…“매출 24% 급감”

미친 물가에 ‘최후 보루’ 학원도 줄였다…“매출 24% 급감”

최재헌 기자
최재헌 기자
입력 2024-03-18 14:38
업데이트 2024-03-18 14: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부가 2025학년도 대학 입시에서 의학 대학 정원을 2000명 늘리겠다고 밝히면서 의대 입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7일 서울 시내의 한 입시 전문 학원에 의대 입시 안내문이 붙어 있다. 2024.2.7/뉴스1
정부가 2025학년도 대학 입시에서 의학 대학 정원을 2000명 늘리겠다고 밝히면서 의대 입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7일 서울 시내의 한 입시 전문 학원에 의대 입시 안내문이 붙어 있다. 2024.2.7/뉴스1
코로나19 이후 고금리로 인한 고물가 사태가 지속되면서 가계 지출의 ‘최후의 보루’로 꼽히는 학원비 매출마저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카드 전업사인 BC카드는 지난 2월 교육 분야 매출이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24% 급감했다고 18일 밝혔다. 2월 가계 소비 전체 매출이 1년 전보다 4.2% 감소한 것에 비해 교육 분야 매출의 감소 폭이 특히 두드러졌다.

18일 BC카드 신(新)금융연구소가 발간한 ‘ABC 리포트 14호’에 따르면 지난 2월 전체 신용카드 지출 중 ▲의료(6.6%↓) ▲식음료(5.1%↓) ▲교통(5.0%↓) ▲쇼핑(3.5%↓) 분야의 매출이 전달보다 줄어드는 등 가계소비 주요 7개 분야 매출이 평균 3.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겨울방학을 맞아 지난달 교육 분야 매출은 전월보다 1.2% 늘었지만 지난해 2월과 비교하면 무려 24% 감소했다.

연구소에 따르면 지난 2020년 3월 이후 교육 분야 연 매출은 꾸준히 증가세를 이어왔지만, 지난해 3월부터 올해 2월까지 최근 1년간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15.0% 감소해 다시 4년 전 수준으로 되돌아갔다. 이는 최근 1년간 예체능학원(-31.5%), 보습학원(-26.7%), 외국어학원(-26.5%) 분야 매출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고금리·고물가가 지속되면서 생활필수품이나 고정지출처럼 여겨지던 교육 분야 소비까지 줄어든 것이다. 교육 분야 외에도 스포츠(-17.0%), 펫(-15.4%), 식당(-11.2%), 주점(-10.7%) 등 주요 분야 매출이 전년 같은 달 대비 10% 이상씩 감소하는 등 고물가 지속으로 인한 가계 소비심리 위축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연구소는 분석했다.

앞서 교육부와 통계청이 전국 초중고교 약 3000곳의 학생 약 7만 4000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2023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 지난해 사교육비 총액은 27조 1000억원으로 전년보다 4.5%(1조 2000억원) 늘어났다. 사교육비 총액 규모는 2021년(23조 4000억원), 2022년(26조원)에 이어 3년 연속 최고 기록을 다시 썼다.
이미지 확대
그래픽 서울신문
그래픽 서울신문
최재헌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