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직구 제품과 차별, 원료 전 성분 공개 생활화학제품 지원

해외 직구 제품과 차별, 원료 전 성분 공개 생활화학제품 지원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24-05-19 15:25
업데이트 2024-05-19 15: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내 16개 기업 생산 400여개 제품 선봬
해외 직구 제품 40% 이상 안전기준 초과

이미지 확대
이정원 국무조정실 국무2차장이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해외 직구 관련 추가 브리핑을 진행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정원 국무조정실 국무2차장이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해외 직구 관련 추가 브리핑을 진행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국민 안전을 해치는 해외 직구(직접 구매) 제품에 대한 관리 강화에 나선 가운데 원료의 성분을 공개한 생활화학제품에 대한 지원에 나선다.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오는 20일부터 다음 달 16일까지 온라인 유통사(티몬·위메프)와 전 성분 공개 및 공개 예정인 생활화학제품 기획전을 개최한다. 안전한 생활화학제품 생산과 소비문화를 촉진하기 위한 것으로 살균제와 세제, 방향제·탈취제 등 일상에서 사용돼 사람에 노출될 수 있는 화학 제품이 대상이다. 애경·LG생활건강·불스원·향기 만드는 가게 등 16개(대·중견기업 4·중소기업 12) 기업의 400여개 제품이 참여한다. 생활화학제품 관리 제도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높이고 성분 정보가 투명하게 공개되는 안전한 제품을 폭넓게 선택할 수 있도록 안내할 예정이다. 정부와 유통사 공동 지원으로 10~20% 할인 쿠폰도 제공한다.

기업은 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주요 성분 정보를 공개해야 한다. 기업이 자발적으로 원료 성분 정보를 공개한 제품은 생활환경 안전 정보시스템(초록누리)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1801개 제품이 등록했다.

양 기관은 소비자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오는 11월 할인 및 판촉 행사를 추진할 예정이다.

환경부는 이런 정보 공개 행사를 통해 안전성이 확보된 우리 기업 제품의 경쟁력이 높아지고 판로개척 등에서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과 한국소비자원의 조사를 보면 지난해 미신고·미승인 해외 직구 제품 90개 중 40개(44.4%)가 관련 안전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황계영 환경부 환경보건국장은 “안전한 생활화학제품 생산·소비 문화 확산을 위해 기업과 소비자 간 신뢰 강화가 중요하다”라며 “기업은 소비자 안전을 위해 노력하고, 소비자는 노력하는 기업 제품을 현명하게 선택하는 의미 있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세종 박승기 기자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