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공항역 사고로 숨진 승객, 역무원 발견 당시 의식 있었다

김포공항역 사고로 숨진 승객, 역무원 발견 당시 의식 있었다

이승은 기자
입력 2016-10-20 09:58
업데이트 2016-10-20 09: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일 오전 스크린도어에 승객이 끼여 숨지는 사고가 발생한 서울 지하철 5호선 김포공항역에서 도시철도공사 직원들이 사고 수습을 위해 열어 놓은 스크린도어 주변을 통제하고 있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19일 오전 스크린도어에 승객이 끼여 숨지는 사고가 발생한 서울 지하철 5호선 김포공항역에서 도시철도공사 직원들이 사고 수습을 위해 열어 놓은 스크린도어 주변을 통제하고 있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19일 오전 서울 지하철 5호선 김포공항역에서 사고로 숨진 김모(36)씨가 역 직원에게 발견될 당시까지만 해도 의식이 있던 것으로 밝혀졌다.

역무원이 승객의 신고를 받고 오전 7시 20분쯤 승강장에 쓰러진 김씨를 발견했을 때는 김씨가 의식이 있었다고 서울도시철도공사는 20일 밝혔다.

김씨는 역무원에게 ‘물을 달라’, ‘가슴이 아프다’, ‘휴대전화를 찾아달라’ 등 말을 했다. 그러나 약 10분가량 뒤 호흡이 가빠지며 의식이 약해졌다.

역무원은 이를 보고 자동심장충격기를 가지고 와 김씨에게 심폐소생술을 했다. 그 사이 119 구급대원이 도착해 응급조치를 한 뒤 김씨를 경기도 고양 명지병원으로 옮겼다.

그러나 김씨는 오전 8시 18분쯤 결국 숨진 것으로 확인됐다.

김씨가 승강장 안전문과 전동차 출입문 사이에 끼였는데도 안전문 센서가 감지하지 못한 것을 두고 일각에서 결함 의혹이 이는 것과 관련해, 도철은 정상적인 작동이라고 설명했다.

도철은 “김포공항역에서 출입문을 여닫은 이후 안전문에서 (김씨를) 감지하지 못한 것은 적상작동으로 결함이 아니다”라며 “승객 승하차를 마쳐 안전문이 닫히면, 이후부터 안전문 센서 감지 기능은 동작하지 않도록 돼 있다”고 설명했다.

곡선 승강장 등에서 전동차가 출발할 때 다른 장애물 센서나 스테인리스 재질의 전동차 측면 등으로 장애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도철은 그러면서 안전문 센서가 고장 났을 때 기관사나 종합관제센터에 알리는 시스템도 구축돼 있다고 덧붙였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