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서울대 입시 서류 ‘예체능 반영’ 신설…일반고 “어쩌나…”

올 서울대 입시 서류 ‘예체능 반영’ 신설…일반고 “어쩌나…”

입력 2013-04-16 00:00
업데이트 2013-04-16 02: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예기간도 없이 바로 적용 “교과과정 자율성 거의 없어 예체능 사실상 손놨는데…”

서울대가 2014학년도 입시부터 공인어학성적 등 수험생의 스펙을 보여 줄 수 있는 각종 서류를 제출하지 못하도록 하고, 그 대신에 예술과 체육 활동을 통한 학습을 새롭게 강조해 눈길을 끌고 있다.

지난달 29일 서울대가 발표한 ‘2014학년도 대학 입학전형 안내’에 따르면 올해 신입생을 선발하는 서류평가 방법에서 ‘예술·체육 활동을 통한 공동체 정신’과 ‘자기주도적인 학습’이라는 내용을 새로 추가했다. 이에 대해 학교현장에서는 고교 단계의 예체능 교육과 인성 교육이 강화될 것이라는 긍정적인 반응과 함께 일반고보다 예체능 교육 과정이 잘 편성돼 있는 자율형사립고 학생들이 더 유리해질 것이라는 비판적인 반응이 섞여 나오고 있다.

서울대 측은 “학생들에게 다양한 예체능 교육과정을 통해 학업에서 오는 부담감과 스트레스를 줄이고, 전인교육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수험생들은 “일반고보다는 교육과정 편성이 잘 돼 있는 자사고나 특목고에 유리할 수 있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또 해당 항목이 올해 처음 신설되고 유예 기간 없이 바로 적용되기 때문에 1~2학년 때 예체능 활동을 거의 하지 않았던 학생들에게는 다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 대입 수시전형에서는 학업성적 외에 교내 예체능 활동을 통해 다양한 특기적성을 기른 학생들이 유리하다. 2013학년도 대입에서 특목고를 제외한 전국 고교 가운데 서울대 수시전형에 가장 많은 합격자를 배출한 하나고 역시 모든 재학생이 의무적으로 예능과 체능 가운데 각 한 종목씩 수련해야 하는 ‘1인 2기’ 활동의 덕을 봤다는 분석이 있다. 특목고인 용인외고도 ‘1인 1악기’, ‘1인 1체육’을 학교 차원에서 교육하고 있으며 민족사관고도 ‘6품제’ 활동을 통해 외국어, 체육, 학술 및 예술, 봉사, 독서 등 다양한 활동과 체험을 강조하고 있다. 반면 일반고에서는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이 거의 없어 정해진 체육, 음악, 미술 수업시간 외에 학생들의 특성에 맞춘 예체능 교육을 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윤샘이나 기자 sam@seoul.co.kr

2013-04-16 2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