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한국사 교육] “교육과정 급조… 학습도구 역할 못해”

[위기의 한국사 교육] “교육과정 급조… 학습도구 역할 못해”

입력 2013-06-12 00:00
업데이트 2013-06-12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논쟁에 무너진 교실

‘2009년 국사, 2010년 국사와 한국 근현대사, 2011년 한국사.’

2009년부터 내리 3년 동안 고등학교 교실에서 배우는 역사 과목명이 변했다. 2009년 고등학교 1학년생이 2학년이 됐을 때 한 해 후배인 1학년은 새로운 과목명의 교재를 썼다. 2014학년도부터는 과목명은 유지되지만 중학교에서 정치사와 사회사를 배우고 고등학교에서 문화사와 경제사를 배우는 새로운 교육과정이 적용된다. 역사 교과서의 변화를 담은 역사책이 필요할 정도의 변화다.

역사 교과서 논쟁에 맞춰 과목을 바꾸다 보니 기형적인 현상이 나타난다고 교사들은 우려했다. 한 고교 역사 교사는 “진보 집권 시기에 근현대사가 중요하다고 해서 근현대사 교과서를 따로 떼냈다가 지난 정부에서 국사 과목을 선택 과목으로 지정한 데 대해 비판이 일자 다시 이를 합쳐 한국사로 만드는 식으로 역사 교육과정 개발이 급조되고 있다”면서 “요즘 한국사 교과서를 보면 구석기 시대부터 조선 철종 이전까지 수십만년의 역사가 교과서 비중의 30~40%를 차지하고 고종 이후 150여년 동안의 역사 비중이 60~70%에 이른다”고 말했다.

결국 교실에서의 학습 도구인 교과서의 ‘질’에 만족하지 못하는 교사가 늘어났다. 김민정 서강대 교수가 156명의 중학교 역사 교사를 상대로 설문조사한 연구에 따르면 교사의 70%가 교과서 내용과 참고 자료를 섞은 별도의 학습지를 만들어 교재로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 교수는 “교사 10명 중 7명은 현재 사용 중인 역사 교과서의 학습 분량이 적절하지 못하다고 인식했다”면서 “현재 우리나라 역사 수업에서 교과서는 대체 가능한 교수·학습 보조자료 중 국가에서 인정한 교재 정도로 활용된다”고 설명했다.

교과서뿐 아니라 역사 교육 자체도 파행 현상을 겪고 있다.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역사를 선택하는 학생이 드물어지자 사실상 수능 문제 풀이식 수업에 집중하며 파행적으로 운영되는 고등학교 3학년 2학기에 역사 과목을 집중 이수시키는 학교도 생겼다.

역사 교육을 강조하는 교육부도 진보·보수 간 역사 교과서 논쟁에서 터져 나온 이슈를 정리하기에 바쁠 뿐 근본적인 역사 교육 강화책 마련은 뒷전이다. 박홍근 민주당 의원은 11일 “교과서에 쓸 기준 용어인 편수자료에 전두환의 군사 반란인 12·12에 대한 규정이 아예 없었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대법원이 확정 판결한 군사 반란과 내란을 교과서에서 여전히 ‘12·12사태’로 표현하게 방치하는 것은 역사 교육 축소를 방관한 교육부의 또 다른 잘못 중 하나”라고 말했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3-06-12 1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